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연차평가 발표

입학전형에서 수험생 부담을 줄이고 고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를 위해 노력한 91개 대학에 정부가 올해 575억원을 지원한다.
고교교육 연계 노력 91개大 575억 지원…서울대·고대는 감액
교육부는 17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2023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연차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고교 교육과정을 반영해 대입전형을 설계하고, 평가역량을 강화해 대입 공정성을 높인 대학에 정부가 3년간 재정지원(2년 지원 후 재선정평가 거쳐 1년 추가지원)을 해주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 기간은 2022∼2024학년도 3개년이다.

사업 2년차인 올해는 작년 선정된 대학의 2024·2025학년도 대입전형 계획 등을 점검해 사업비만 조정했으며 탈락한 대학은 없다.

평가 결과 사업 대상 91개 대학 가운데 숙명여대·인하대·차의과대 등 17곳은 '우수', 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 등 58곳은 '보통' 등급을 받았다.

고려대·서강대·서울대 등 16곳은 '미흡'으로 분류됐다.

교육부는 개별대학 평가 결과에 대한 세부사항을 밝히지 않았지만, 올해는 문·이과 통합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에 맞는 전형을 운영하는지에 대한 점검을 지난해보다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수학 미적분 응시생이 높은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학 인문사회계열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침공'을 해소하고자 노력했는지 등이 평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우수' 대학은 20%의 추가 사업비를 받게 된다.

'미흡' 대학은 사업비가 20% 깎이고 추가 상담(컨설팅)을 받게 된다.

[표] 2023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연차평가 결과

◇ 유형Ⅰ
┌──────────┬──────────────────────────┐
│ 평가결과 │ 대학 (가나다 순) │
├──────────┼──────────────────────────┤
│ 우수 │ 강남대, 경기대, 대구교대, 대진대, 동의대, │
│ (총 14개교) │ 명지대, 부산가톨릭대, 숙명여대, 인하대, 제주대, │
│ │ 차의과대, 충북대, 한남대, 한동대, │
├──────────┼──────────────────────────┤
│ 보통 │ 가톨릭대, 가톨릭관동대, 강릉원주대, 강원대, │
│ (총 50개교) │ 건국대, 경북대, 경인교대, 경희대, 계명대, │
│ │ 공주대, 광운대, 광주교대, 군산대, 금오공대, │
│ │ 단국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덕성여대, 동국대, │
│ │ 동아대, 부경대, 부산교대, 서울과기대, 서울여대, │
│ │ 선문대, 세종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순천향대, │
│ │숭실대, 아주대, 안동대, 연세대, 영남대, 원광대, 이화│
│ │ 여대, 인천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
│ │ 조선대, 중앙대, 청주교대, 한국교통대, 한국외대, │
│ │ 한림대, 한밭대, 한양대, 한양대(에리카), 호서대 │
├──────────┼──────────────────────────┤
│ 미흡 │ 건국대(글로컬), 경상국립대, 고려대, 국민대, │
│ (총 13개교) │ 대구가톨릭대, 목포대, 부산대, 상명대, 서강대, │
│ │ 서울시립대, 서울대, 충남대, 한국교원대 │
└──────────┴──────────────────────────┘

◇ 유형Ⅱ
┌──────────┬──────────────────────────┐
│ 평가결과 │ 대학 (가나다 순) │
├──────────┼──────────────────────────┤
│ 우수 │ 신라대, 한라대, 한성대 │
│ (총 3개교) │ │
├──────────┼──────────────────────────┤
│ 보통 │ 고신대, 남서울대, 대전대, 배재대, │
│ (총 8개교) │ 삼육대, 상지대, 우산대, 한국공학대 │
├──────────┼──────────────────────────┤
│ 미흡 │ 동명대, 중원대, 홍익대 │
│ (총 3개교) │ │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