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탑재 준비 완료"…한달만에 공개 활동, 김주애 동행
"주권·방위권 더 공세적으로 행사"…조만간 발사체에 실어 발사 전망
북 "김정은, 군사위성 1호기 시찰…차후 행동계획 승인"(종합)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시찰하고, '차후 행동 계획'을 승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지난달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해 "발사 최종 준비를 끝내라"고 지시한데 이어 한 달 만에 차후 행동 계획을 승인함에 따라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를 감행할 가능성이 한층 커진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16일 비상설 위성발사 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하셨다"며 "위원회의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하셨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사업 정형을 파악하고, 총조립 상태 점검과 우주 환경시험을 최종적으로 마치고 탑재 준비가 완료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돌아봤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는 또 군사정찰위성 보유의 전략적 성격을 강조하면서 "미제와 남조선 괴뢰 악당들의 반공화국 대결 책동이 발악적으로 가증될수록 이를 철저히 억제하고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우리의 주권과 정당방위권이 더욱 당당히 더욱 공세적으로 행사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군사정찰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것은 조성된 국가의 안전 환경으로부터 출발한 절박한 요구"라며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의 최우선적인 국방력 강화 정책의 정확한 실천 과정인 동시에 나라의 우주 군사 및 과학기술 개발에서 뚜렷한 진일보로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나라의 군사 기술력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중대 사업 실천 과정에서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가 맡은 임무와 역할을 책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데 대하여 높이 평가"했다.

통신은 이 위원회가 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연구기관들, 각급 대학 및 과학연구기관의 과학자, 기술자들을 망라하며,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를 위한 사업이 마무리를 뜻하는 '결속' 단계라고 밝혔다.

북 "김정은, 군사위성 1호기 시찰…차후 행동계획 승인"(종합)
김정은의 공개 활동은 지난달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해 정찰위성 제작 완성을 선언한 이후 약 한 달만이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18일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을 쏜 뒤 미사일이 '위성 시험품'이었다고 주장하며 올해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마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지난달 국가우주개발국 방문 때 김정은은 "4월 현재 제작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비상설 위성발사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 준비를 다그쳐 끝내"라고 말했다.

북한 매체 보도에 따르면 군사정찰위성 1호기는 지난달 '제작'이 완성됐다면 이번에는 '탑재 준비'까지 완료된 상태다.

이런 점으로 미뤄 김정은이 승인했다는 '차후 행동계획'은 제작과 탑재 준비를 마친 위성을 조만간 발사체에 탑재하고 발사하는 계획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 매체가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이번 방문에도 김정은 딸 김주애가 지난달 우주개발국에 이어 동행했다.

사진에서 김정은과 김주애는 실험복으로 보이는 하얀색 가운과 모자를 썼다.

연구원이나 관계자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푸른색 가운과 모자를 착용하고 마스크도 했지만, 김정은 부녀는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붉은색 접근 통제선이 둘러쳐진 위성 실물로 추정되는 물체를 김정은이 바라보는 모습도 포착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