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이 1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경련 제공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이 1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전경련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국경제인협회’로 이름을 바꾸고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 변신한다. 전경련이 이름을 바꾸는 건 1968년 전경련 명칭을 시작한 이후 55년만이다. 국내 경제단체 맏형격인 전경련이 환골탈태를 선언하면서 재계의 대표 창구로 다시 떠오를지 관심이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사진)은 1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경련이 정부관계에 방점을 두고 회장·사무국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과거의 역할과 관행을 통렬히 반성한다”며 이 같은 내용을 주로 담은 전경련 혁신안을 발표했다.

김 회장이 밝힌 혁신 방향은 △정치·행정권력 등 외부의 부당한 압력을 배격하고, 회원사 의견을 반영하는 의사결정체계를 갖추고 △연구기능·정보기능 강화를 통해 회원사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며 △자유시장 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하며 △자유민주주의·자유시장경제에 대한 확산하는 기관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을 흡수통합하고, 윤리경영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의 혁신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산업분야의 기업인과 젊은 세대 등으로 회장단을 확대하고 회원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위원회를 활성화하고 자유시장경제와 국민 소통을 위한 조직도 강화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향후 주무관청과 협의, 이사회·총회 등을 거쳐 혁신안과 관련된 법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재후/김형규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