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 인식조사…"골다공증이 사망 위험 높여, 평소 뼈 건강 챙겨야"
"중년여성 10명 중 2명, 골절 걱정되지만 골밀도 수치는 몰라"
우리나라 50대 이상 중년 여성들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위험을 걱정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골밀도 수치에 대한 인지율은 10명 중 2명꼴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이 주로 발생하는 50~70대 여성 1천8명을 대상으로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 조사'를 벌인 결과 골밀도 수치에 대한 인식률이 낮아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뼈에 구멍이 많이 생겨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전체 환자의 90%가량은 50대 이후 중년 여성이다.

골다공증이 무서운 건 손목과 척추, 골반 등에 골절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척추 골절과 골반 골절은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일 뿐 아니라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척추 골절과 골반 골절 환자가 1년 내 사망할 확률은 각각 5∼10%, 15∼20%에 이른다.

골다공증은 체내 골밀도 수치인 'T-점수'가 -2.5 미만인 경우를 말하며, 이보다 높은 -1∼-2.5는 골감소증으로 분류한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90.5%는 골절이 건강한 노후를 위협하는 위험한 질병이라고 답했다.

이는 암(92.5%), 치매(91.7%), 고혈압(82.8%), 당뇨병(84.5%)과 유사한 인식 수준이라는 게 학회의 설명이다.

하지만 골다공증 건강지표인 T-점수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 사람은 61.8%였고, 자신의 골밀도 수치를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22.8%에 그쳤다.

골밀도 검사를 받아본 사람조차 10명 중 8명(82.7%)이 자신의 골밀도 수치를 모르고 있었다.

대한골대사학회 이유미 총무이사(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여성들은 암, 치매만큼 골절을 무서워하고 골다공증 관리가 혈압, 혈당만큼 중요하다고 여기면서도 정작 자신의 골밀도 수치(T-점수)를 몰라 골다공증 치료 기회를 놓칠 위험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중년여성 10명 중 2명, 골절 걱정되지만 골밀도 수치는 몰라"
따라서 골다공증 위험이 큰 중년 여성들이 자신의 골밀도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뼈 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홍보, 교육 등의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게 학회의 판단이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가건강검진 사업을 통해 54세와 66세 여성의 골밀도검사를 전액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건보공단은 올해 1월부터 검진 결과 통보서에 골밀도 측정 부위 및 골밀도(T-점수) 수치를 표기함으로써 골밀도검사 결과가 골다공증 치료에 연계되도록 했다.

전문가들은 골다공증을 예방하려면 평소 칼슘과 비타민D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한다.

칼슘은 우유 및 유제품은 물론 멸치, 뱅어포, 해조류, 무청 등 녹황색 채소에도 들어 있다.

비타민D는 대구 간유, 연어, 고등어, 정어리 등에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데, 음식보다는 피부에 햇볕을 쬐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오전 10시에서 2시 사이에 얼굴, 팔, 손 부위에 하루 15∼30분 정도만 햇볕을 쬐면 충분한 비타민D를 합성할 수 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술, 담배, 탄산음료를 피해야 한다.

커피도 하루 1∼2잔 정도가 적당하다.

카페인이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방해하고 이뇨 작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애써 섭취한 칼슘을 소변으로 모두 배출시킬 수 있어서다.

골다공증 환자라면 하루 30분가량 약간 숨이 찰 정도의 강도로 평지 걷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된다.

또 외출 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주는 것도 골절 예방에 좋다.

김하영 학술이사(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는 "만약 건강검진에서 골밀도에 이상이 발견됐다면 신속히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면서 "검진 기관이나 의료진 입장에서도 수검자가 적절한 대처를 할 때까지 지속해서 안내하고 치료를 독려하는 사후관리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