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독일로 흘러 들어간 외국인 투자 자금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 유럽연합(EU) 내에서 입지를 잃지 않으려는 영국 기업들이 몰린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英 기업들 투자 21% 증가
파이낸셜타임스(FT),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독일투자청(GTAI)은 22일(현지시간) 독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가 총 253억유로(약 36조원)로, 1년 전(70억유로)보다 261%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새롭게 유치한 프로젝트 수는 1783건으로, 2021년(1806건)보다는 23건 적었지만 2020년(1684건)과 비교하면 101건 늘었다. 가장 많은 투자를 단행한 국가는 미국(279건)이었다. 지난해 3월 미 반도체 기업 인텔이 독일 마그데부르크에 170억유로(약 24조원)를 들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것이 주효했다.
스위스(208건)와 영국(170건)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영국의 신규 투자 프로젝트 수는 1년 새 21% 증가했다. 브렉시트 이후로 EU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해두려는 영국 기업들의 움직임이 뚜렷해진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헤르만 GTAI 청장은 “영국과 스위스는 모두 EU 회원국이 아니다”라며 “이들은 EU 내에 ‘서포팅 레그(supporting leg‧지지대)를 두길 원하며, 독일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영국 기업들은 지난해 대규모 독일 투자 프로젝트를 줄줄이 발표했다. 영국 최대 스포츠용품 업체인 스포츠 다이렉트의 소유주 프레이저스 그룹은 작년 4월 독일 서부 도시 비트부르크의 공항에 3억유로(약 4273억원)를 들여 새 물류 센터를 짓겠다고 알렸다. 영국 암스트롱에너지와 호주 스타트업 라이셀라홀딩스의 합작 기업인 무라 테크놀로지는 뵐렌에 연간 12만t 규모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활용해 석유를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 공장 설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프로톤 모터 파워 시스템즈는 푸크하임의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자료=독일투자청.
IRA 리스크 커…전쟁에는 선방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뛰면서 투자 매력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투자 유치 실적은 양호했다는 평가다.
헤르만 청장은 “전쟁과 에너지 위기,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 등을 고려하면 성공적인 결과”라며 “전 세계 기업들은 독일 시장의 규모와 안전한 법률 시스템, 우수한 인력 및 인프라와 연구‧개발 환경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 부문별로 보면 정보기술(ICT) 및 소프트웨어(22%), 금융 서비스(21%), 소비재(8%) 등에 외국 기업들의 투자가 집중됐다.
다만 강력한 봉쇄 조치가 취해졌던 중국 기업들의 투자 활동은 급감했다. 중국은 지난해 독일에서 141건의 신규 투자를 결정하며 4위에 올랐지만, 이는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업 임원들의 독일 출장이 엄격히 제한된 데 따른 결과라고 GTAI는 설명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반도체법(CHIPS Act) 등을 통해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를 급속도로 빨아들이고 있는 점은 변수로 지적된다. 헤르만 청장은 “신규 투자에만 한정한다면 그 숫자는 분명 줄어들고 있다”며 “(IRA는) 독일을 비롯한 대(對)유럽 투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23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북부 제닌에 이스라엘군 탱크가 진입하자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이 서안에 탱크를 투입한 것은 23년 만이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이후 하마스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서안 북부 지역 3곳에서 팔레스타인 주민 약 4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 AFP연합뉴스
중국 최대 e커머스 기업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분야에 3년간 약 75조원을 투자한다.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앞으로 3년간 알리바바는 AI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3800억위안(약 75조원) 이상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알리바바가 지난 10년에 걸쳐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투입한 총투자액을 넘어서는 규모다. 중국 민영기업 중 역대 최대 AI 투자액이다.이날 투자 발표는 지난 1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재한 민영기업 좌담회에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가 등장한 이후 나왔다. 마윈은 5년 전 중국 정부 규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해 눈 밖에 나면서 사실상 은둔 생활을 해왔다. 이날 마윈이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복권됐다는 신호로 해석됐고, 대규모 투자 계획으로 화답한 것으로 분석된다. 알리바바 주가도 지난 21일 13.8% 올라 2021년 11월 이후 약 3년3개월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알리바바는 지난달 출시한 새 AI 모델 ‘큐원 2.5-맥스’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V3를 포함해 오픈AI의 GPT-4o, 메타의 라마 3.1을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애플이 중국에서 AI 기능이 장착된 아이폰을 내놓기 위해 알리바바와 제휴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중국에서는 알리바바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도 AI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틱톡을 보유한 바이트댄스는 올해 1500억위안 이상 자본 지출을 계획 중이다.이혜인 기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무역 대상국이 불공정 거래 관행을 지속한다면 협상에 나설 때까지 상호 관세를 올리겠다고 경고했다.베선트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유럽연합(EU)과 다른 나라에 상호 관세를 적용한다는 것은 그들이 하는 일을 그대로 따라하면서 다른 요인을 추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들이 문제를 교정한다면 관세는 다시 낮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베선트 장관은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4월 1일 상호 관세 관련 보고서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까지 상호 관세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난 13일 지시했다. 베선트 장관은 보고서 작성 시 실제 관세, 통화 조작 등 비관세 장벽, 불공정 보조금 지원, 자국 기업에 대한 소송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앞서 백악관은 미국 기술 기업에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부과하고 차별적 규제를 도입하면 보복 관세를 물릴 수 있다는 지침을 발표했다.대통령이 최대 50%까지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한 1930년 관세법을 적용할지 묻자 베선트 장관은 “4월 1일까지 기다려봐야 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얘기할 수 없다”며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했다. 이는 관세 부과 전 협상을 통한 세율 조절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풀이된다.아울러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보다 (협상) 레버리지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앞서 나갈 생각은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민을 위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