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유니클로 나오지 말란 법 없다"…개혁 꿈꾸는 코웰패션 [하수정의 티타임]
"세상에 없던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이 곧 탄생합니다."

이순섭 코웰패션 회장(사진)은 "나는 야망이 있다"고 고백했다. 30일 서울 여의도 코웰패션 회장 집무실에서 만난 그는 "일본 '유니클로'에 대항하는 글로벌 브랜드를 빠른 시간내에 키울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연신 강조했다.

시가총액 100조원, 연 매출 20조원, 업력 50년에 달하는 유니클로를 이제 막 매출 1조원을 넘긴 20년 업력의 코웰패션이 어떻게 맞설 수 있을까. 이 같은 질문에 이 회장은 화이트보드 위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코웰패션을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와 국내 유통사, 해외 파트너사들이 손 잡은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다.

○ 아시아 공략 승부수, 슈퍼드라이

이 회장은 패션 개혁을 꿈꾼다. 이 회장은 "그동안 해오지 않았던 형태의 패션사업을 조만간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외 브랜드를 빌려 수수료를 주고 생산·판매하는 '라이선스 사업'이나 위탁생산 중심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에 치중했던 국내 패션기업들의 한계를 뛰어넘겠다는 복안이다.

그는 유명 브랜드의 지식재산권(IP)을 인수한 후 국내·외 유통사들과의 합종연횡을 통해 빠르게 시장을 장악하는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 구축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 1호는 '영국 국민 캐쥬얼 브랜드'인 슈퍼드라이.

이 회장은 '한국판 유니클로'의 꿈을 시작하기에 적합한 브랜드를 오랜 기간 찾아왔다. ▷매출 1조원 수준, 매장 500개 이상의 규모화가 돼 있고 ▷남녀 모두 선호하는 글로벌 인지도를 갖추면서도 ▷국내에 아직 진출하지 않은 브랜드라는 조건이다.

여기에 부합하는 브랜드는 영국의 슈퍼드라이가 유일했다고 이 회장은 전했다. 코웰패션은 지난 3월 중국 기업들을 제치고 슈퍼드라이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인도, 호주, 뉴질랜드 제외) 40여개국의 지식재산권(IP)을 5000만달러(660억원)에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 라이선스 사업은 한정된 계약기간동안 본사에 로열티를 주는 구조인 반면, IP인수는 상표권을 영구히 갖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회장은 "국내에서 유니클로에 대항하는 신규 브랜드를 만들어봤자 해외 진출하면 인지도가 없어 바닥에서 시작해야한다"며 "해외에 바로 나가도 승부를 볼 수 있는 유명 브랜드의 IP 인수를 갈망해왔다"고 설명했다.

○"10조 가치의 기업 만들 것"

이 회장은 "슈퍼드라이를 아시아에서 '메가 브랜드'로 키울 판을 이미 짜 놓았다"고 했다. 그는 기획 디자인 생산 마케팅을 맡는 코웰패션을 중심으로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손을 잡는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을 소개했다.

다음 달 말께 대형 유통사와 합작법인을 세우는 작업이 첫 단계다. 유통사와 이익을 공유하는 합작법인을 통해 유통사 스스로 브랜드를 확산시키는 데 적극 나서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해외 파트너사들과 동남아시아 공략을 시작한 후 중국 시장은 시차를 두고 진입키로 했다.

코웰패션이 슈퍼드라이 영국본사에 10년간 5억 달러(6600억원)규모의 역수출을 하는 방안도 성사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에 하나 슈퍼드라이 아시아 사업이 실패하더라도 본사 역수출 물량이라는 안전판이 있다"는 게 이 회장의 설명이다.

이 회장의 꿈은 크다. 슈퍼드라이를 아시아에서 연 1조원 매출 브랜드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글로벌 패션 파이프라인을 통해 슈퍼드라이가 성공하면, 다른 브랜드들도 이 파이프라인에 잇따라 들어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 10개 이상을 확보해 10조원의 기업가치를 만드는 게 그의 야망이다.

이 회장은 "유니클로, GAP 등 초대형 글로벌 브랜드를 운영하는 패션기업이 한국에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며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걸으며 패션계 이정표를 세우고 싶다"고 했다.

○"정체되면 죽는다" 역성장 없는 코웰패션

코웰패션이 단순 홈쇼핑용 속옷회사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코웰패션은 40여개 글로벌 브랜드의 언더웨어, 스포츠웨어, 화장품, 가방 등 패션의 거의 모든 분야를 제작 판매한다. 아디다스, 캘빈 클라인 등도 처음엔 코웰패션에 언더웨어 부문을 맡겼지만 이후 판매 실적을 본 뒤 의류까지 확장했다.

이렇게 글로벌 브랜드와의 네트워크가 확장된 데는 이 회장의 집념이 있었다. 그는 "브랜드의 오너에게 직접 이메일을 보내고 찾아가며 수 년간 연락 시도를 하는 것이 비결이라면 비결"이라고 했다. 캘빈 클라인은 5년만에, 아디다스는 3년만에 브랜드 제조 및 판권을 따냈다. "거절당하는 것은 두렵지 않습니다. 올해 거절당했다고 내년, 내후년까지 또 거절 당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코웰패션은 2002년 설립 후 단 한해도 역성장이 없었다. 적자도 없었다. 권오일 대명화학 회장을 만나 대명화학 계열의 필코전자와 합병, 2015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코웰패션에 전자사업부가 있는 이유다. 2021년엔 로젠택배를 인수해 물류사업과 시너지를 모색중이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