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고용시장이 회복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2030 젊은 여성이 회복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같은 연령대 남성의 고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여성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 중심의 회복이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2030여성 고용률 급증

한국은행이 31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 : 여성 고용 회복세 평가'에서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과 정선영 과장, 이종하·한지우 조사역은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 회복 과정에서 여성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여성(she)과 회복(recovery)이라는 단어를 조합해 '쉬-커버리(she-covery)'로 명명했다.
팬데믹 끝나니 2030 젊은 여성 취업 '쑥'…이유 봤더니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이들의 분석에 따르면 이를 주도하는 것은 20~30대 젊은 여성이었다. 20대와 30대의 고용률은 팬데믹 이전인 2020년 1월에 비해 각각 4.1%포인트, 4.4%포인트 증가했다. 2.9%포인트 증가한 50대나, 0.2%포인트 증가에 그친 40대에 비해 증가 폭이 컸다. 학력별로 보면 고학력 여성의 고용률이 2.5%포인트 증가해 고용 회복을 견인했다.

이는 남성의 고용 회복의 양상과 크게 다른 것이다. 남성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고용률 증가폭이 3.0%포인트로 가장 컸다. 20대는 코로나 이전과 같은 수준이었고, 30대는 1.6%포인트 낮아 아직 회복이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학력 남성 고용률도 여성과 달리 하락했다.

재택근무 활성화도 영향

한은은 이같은 현상이 일어난 요인으로 팬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 등 산업별 노동수요 변화가 일어난 점을 꼽았다. 20~30대 여성의 취업 비중이 높은 비대면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보건복지 등에서 취업자수가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팬데믹 끝나니 2030 젊은 여성 취업 '쑥'…이유 봤더니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또 팬데믹을 거치면서 재택근무 등 새로운 형태의 근로가 보편화한 점도 영향을 줬다.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 확산으로 기혼 여성이 일과 가사·양육 간 균형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것이다. 남성도 보다 손쉽게 육아분담에 참여할 수 있게 되면서 부부 맞돌봄 문화도 확산되고 있다고 한은은 봤다.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에 대한 일종의 사회실험이 진행됐고, 이로인해 도입된 새로운 근로형태가 고용지표에 영향을 주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지난 10년간 이어져오고 있는 M자형 커브를 해소하는 것은 남은 과제로 꼽혔다. 이는 여성 경제활동 참여가 결혼·임신·육아기인 30대에 하락한 이후 40대에 다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대체로 20~50대에 비슷한 참가율을 보이는 유럽 등 선진국과 다른 한국의 독특한 현상이다. 다만, 한국은 지난 10여년 간 비혼 및 늦은 결혼의 영향으로 30대 초반 여성의 노동공급이 증가하면서, M자 커브가 우측으로 소폭 이동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