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직원 사망' LGD 장시간근로 의혹 감독 착수
노동 당국이 최근 직원 사망 사건이 발생한 LG디스플레이의 '공짜 야근', 장시간 근로 의혹에 대한 불시 감독에 나섰다.

3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노동부 서울남부지청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 있는 LG디스플레이 본사를 예고 없이 찾아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조사 중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제기된 여러 의혹과 관련해 임직원을 면담하고 관련 서류를 확보해 분석할 것"이라며 "의혹이 사실이면 시정을 지시하고, 사안이 심각하다고 판단하면 과태료도 부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LG디스플레이 팀장급 직원인 40대 A씨는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한강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직장 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며 논란이 발생했다.

노동부는 일각에서 제기된 '직장 내 괴롭힘'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볼 예정이지만, A씨가 팀장급이었던 만큼 조사 방점은 포괄임금제 오남용과 장시간 근로 의혹에 찍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포괄임금제는 근로 형태나 업무 성질상 추가 근무수당을 정확히 집계하기 어려운 경우 수당을 급여에 미리 포함하는 계약 형태다.

현실에서 포괄임금제는 '공짜 야근', '임금 체불'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포괄임금제를 오남용하면 기업이 근로자의 장시간 근로를 비용으로 인식하지 못해 근로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하지 않게 된다.

이런 이유에서 노동부는 근로시간을 줄이기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로 포괄임금 오남용 근절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직원 사망과 관련해 사외이사 중심의 독립적인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사태 수습과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지난 23일 임직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사외이사진 주도로 독립적인 대책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요청하겠다"며 "내부의 상황을 명확하게 진단해 문제점을 찾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대책위에 일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