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신양회도 "시멘트값 14% 올려달라"…가격 인상 전방위 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쌍용C&E 이어 두번째 가격 인상 통보…2년 새 60% 올리는 셈
건설업계 "유연탄값 떨어진만큼 시멘트 가격 내려라" 맞대응키로
정부도 "과다 인상은 결국 소비자 피해"…인상 적정성 여부 검토 착수
쌍용C&E에 이어 성신양회가 두 번째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섰다.
이르면 이달 내 시멘트 7개사 모두 가격 인상에 나설 태세여서 지난해 건설업계를 괴롭혔던 레미콘 파업과 공사 차질이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쌍용·성신, 1분기 적자에 가격 인상…나머지도 줄줄이 대기
4일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사를 대상으로 발송한 공문에서 7월부터 t당 10만5천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앞서 업계 1위인 쌍용C&E가 내달부터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4천800원에서 11만9천600원으로 14.1% 인상을 선언한 데 이은 것이다.
두 회사는 올해 1분기 영업적자를 냈다.
쌍용C&E는 17억3천만원, 성신양회는 49억3만원의 적자를 봤다.
1분기에 흑자를 낸 한일·아세아·삼표시멘트 등은 "당장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면서도 내부적으로 인상 여부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미콘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초 경영실적이 악화한 두 회사가 먼저 선봉에 선 것이고, 업계 관행상 나머지 5개사도 조만간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며 "이달, 늦어도 다음 달 안으로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시멘트 회사들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시작해 최근 2년간 벌써 네 번째다.
2021년에는 5%가량 인상했으나 작년에는 2월과 9월 두 차례 가격을 올렸고 인상 폭도 각각 18%, 14%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2021년 6월 t당 7만5천원이던 시멘트 값은 현재 10만5천원 선으로 약 40% 뛰었다.
이번에 다시 가격을 12만원 수준으로 올리면 2년 새 60% 급등하는 셈이다.
지난해 시멘트업계의 가격 인상 이유는 유연탄 가격 및 환율 인상이었다.
올해는 전기료 인상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시멘트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멘트 제조원가에서 20%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44%나 올랐다"며 "최근 유연탄 가격은 하락했지만 환율이 올라 가격 하락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장 시멘트를 공급받아야 하는 레미콘사들은 이런 해명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일단 시멘트업계가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한다고 했던 유연탄 가격이 최근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들이 주로 수입하는 호주 뉴캐슬탄(6천㎉ 기준) 가격은 작년 상반기 t당 약 345달러, 최고 400달러에 육박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150∼160달러 선으로 50∼60%가량 하락해 2021년 7월 이후 최저다.
레미콘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기요금이 시멘트사들 주장대로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지도 불확실하다"며 "폐열회수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설비 등을 통해 연간 수백억원의 전기 비용을 아낀다고 하면서 전기료 인상 때문에 시멘트 가격을 두 자릿수나 인상하겠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멘트 가격 인상 시 이를 건설사에 납품하는 레미콘 가격에 전가해야 하는데, 이 경우 레미콘사와 건설사와 마찰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레미콘사들은 건설사와의 가격 협상이 난항을 겪자 주요 건설현장에 레미콘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지연 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차질이 빚어졌다.
◇ 건설업계 "유연탄값 하락분 반영하라"…정부, 적정성 여부 검토키로
건설업계는 철근, 레미콘 등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전국 곳곳에서 공사비 갈등을 겪고 있는데, 설상가상으로 시멘트 가격 인상이 추진되자 반발하고 있다.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홍남도 회장은 "시멘트 가격 인상 여파로 작년부터 계속된 레미콘 가격 협상이 지난 5월 1일자로 마무리돼 아직 잉크도 마르지 않은 상태인데 또다시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공사 원가가 20% 이상 상승해 현재 골조공사를 진행 중인 현장은 대부분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시멘트 가격 인상분에 전기료 인상분이 반영됐고, 유연탄은 작년보다 무려 50∼60% 내렸는데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음 달에는 화물연대, 건설노조 등 양대 노총이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전국 건설현장 곳곳에서 공사 중단 등 어려움이 심화할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이에 따라 시멘트사를 상대로 강도높은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금주 중 시멘트업계에 공문을 보내 유연탄 가격이 인하한 만큼 시멘트 가격도 낮출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는 지난주 회의를 열어 시멘트 가격 인상의 적정성 여부를 논의했다.
다만 민간에 대한 직접적인 가격 통제는 어려운 만큼 과다 인상 여부 위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멘트사들이 인상 요인으로 지목한 전기료 인상분을 적절하게 반영했는지 업계의 의견을 들어볼 것"이라며 "과도한 가격 인상은 결국 분양가 상승 등 국민에게 피해가 전가되는 만큼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시멘트사와 레미콘·건설사들 간 협의 실패 시 동반성장위원회를 통해 갈등 조정에 나서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방 중견 건설사들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생사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라며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업계가 서로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건설업계 "유연탄값 떨어진만큼 시멘트 가격 내려라" 맞대응키로
정부도 "과다 인상은 결국 소비자 피해"…인상 적정성 여부 검토 착수
쌍용C&E에 이어 성신양회가 두 번째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섰다.
이르면 이달 내 시멘트 7개사 모두 가격 인상에 나설 태세여서 지난해 건설업계를 괴롭혔던 레미콘 파업과 공사 차질이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쌍용·성신, 1분기 적자에 가격 인상…나머지도 줄줄이 대기
4일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사를 대상으로 발송한 공문에서 7월부터 t당 10만5천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앞서 업계 1위인 쌍용C&E가 내달부터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4천800원에서 11만9천600원으로 14.1% 인상을 선언한 데 이은 것이다.
두 회사는 올해 1분기 영업적자를 냈다.
쌍용C&E는 17억3천만원, 성신양회는 49억3만원의 적자를 봤다.
1분기에 흑자를 낸 한일·아세아·삼표시멘트 등은 "당장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면서도 내부적으로 인상 여부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미콘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초 경영실적이 악화한 두 회사가 먼저 선봉에 선 것이고, 업계 관행상 나머지 5개사도 조만간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며 "이달, 늦어도 다음 달 안으로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시멘트 회사들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시작해 최근 2년간 벌써 네 번째다.
2021년에는 5%가량 인상했으나 작년에는 2월과 9월 두 차례 가격을 올렸고 인상 폭도 각각 18%, 14%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2021년 6월 t당 7만5천원이던 시멘트 값은 현재 10만5천원 선으로 약 40% 뛰었다.
이번에 다시 가격을 12만원 수준으로 올리면 2년 새 60% 급등하는 셈이다.
지난해 시멘트업계의 가격 인상 이유는 유연탄 가격 및 환율 인상이었다.
올해는 전기료 인상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시멘트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멘트 제조원가에서 20%를 차지하는 전기료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44%나 올랐다"며 "최근 유연탄 가격은 하락했지만 환율이 올라 가격 하락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장 시멘트를 공급받아야 하는 레미콘사들은 이런 해명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일단 시멘트업계가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한다고 했던 유연탄 가격이 최근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들이 주로 수입하는 호주 뉴캐슬탄(6천㎉ 기준) 가격은 작년 상반기 t당 약 345달러, 최고 400달러에 육박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150∼160달러 선으로 50∼60%가량 하락해 2021년 7월 이후 최저다.
레미콘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기요금이 시멘트사들 주장대로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지도 불확실하다"며 "폐열회수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설비 등을 통해 연간 수백억원의 전기 비용을 아낀다고 하면서 전기료 인상 때문에 시멘트 가격을 두 자릿수나 인상하겠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멘트 가격 인상 시 이를 건설사에 납품하는 레미콘 가격에 전가해야 하는데, 이 경우 레미콘사와 건설사와 마찰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레미콘사들은 건설사와의 가격 협상이 난항을 겪자 주요 건설현장에 레미콘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지연 등 건설현장에서의 공사 차질이 빚어졌다.
◇ 건설업계 "유연탄값 하락분 반영하라"…정부, 적정성 여부 검토키로
건설업계는 철근, 레미콘 등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전국 곳곳에서 공사비 갈등을 겪고 있는데, 설상가상으로 시멘트 가격 인상이 추진되자 반발하고 있다.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홍남도 회장은 "시멘트 가격 인상 여파로 작년부터 계속된 레미콘 가격 협상이 지난 5월 1일자로 마무리돼 아직 잉크도 마르지 않은 상태인데 또다시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공사 원가가 20% 이상 상승해 현재 골조공사를 진행 중인 현장은 대부분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시멘트 가격 인상분에 전기료 인상분이 반영됐고, 유연탄은 작년보다 무려 50∼60% 내렸는데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음 달에는 화물연대, 건설노조 등 양대 노총이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어서 전국 건설현장 곳곳에서 공사 중단 등 어려움이 심화할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이에 따라 시멘트사를 상대로 강도높은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금주 중 시멘트업계에 공문을 보내 유연탄 가격이 인하한 만큼 시멘트 가격도 낮출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는 지난주 회의를 열어 시멘트 가격 인상의 적정성 여부를 논의했다.
다만 민간에 대한 직접적인 가격 통제는 어려운 만큼 과다 인상 여부 위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멘트사들이 인상 요인으로 지목한 전기료 인상분을 적절하게 반영했는지 업계의 의견을 들어볼 것"이라며 "과도한 가격 인상은 결국 분양가 상승 등 국민에게 피해가 전가되는 만큼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시멘트사와 레미콘·건설사들 간 협의 실패 시 동반성장위원회를 통해 갈등 조정에 나서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방 중견 건설사들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생사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라며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업계가 서로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