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클래식 음악, 우리는 불친절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선혜 소프라노
얼마 전 프랑스의 한 실내악 축제에 갔을 때 일이다. 모차르트를 주제로 한 듀오 리사이틀로, 피아노 소나타에 이어 내가 1부에서는 모차르트의 가곡을, 2부에서는 그의 오페라 아리아들을 노래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가곡은 주로 독일어, 오페라 아리아는 이탈리아어로 돼 있으니 두 언어 모두 대부분의 청중에게도 외국어였던 셈이다. 큰 와인 저장고를 개조해 만든 이 공연장에는 번역 가사를 띄울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종이 번역지를 돌린다고 해도 어두운 객석에서 청중이 글씨를 읽기란 불가능했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직접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내 프랑스어 실력이 신통치 않을 뿐더러 관객 중에는 더러 외국인도 있어 나는 영어로 이야기했고, 그걸 여러 언어에 능통한 피아니스트가 프랑스어로 통역했다. 이 상황이 흥미로운지 관객 중 더러는 아는 단어를 대며 통역을 거들었고, 이내 공연장엔 뜻밖에 생기마저 돌았다.
수백 년이 지나도록 사랑받아온 클래식 음악이지만, 본고장에서도 새로운 관객에 대한 갈증은 지속적인 고민이다. 시장과 예술 사이에서 확고히 예술 중심을 지향하는 것엔 변함이 없지만,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시대의 변화는 클래식 음악계에도 유연함을 요구하고 있다. 어느덧 소셜미디어가 공연 모객과 아티스트 홍보에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연 소개 영상을 직접 찍어달라는 부탁도 자주 받는다. 휴대폰 화면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고 이야기하는 것도, 무대복이 아니라 평상복 차림을 보이는 것도 여간 낯설고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재차 시도해도 영 어색하지만, 이것이 공연이나 음반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는 데엔 반론의 여지가 없다.
물론 이런 ‘반칙 또는 친절함’이 늘 필요하거나 가능한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는 더 적극적으로 다정할 필요가 있다. 음악평론가나 칼럼니스트의 전문적이고 흥미로운 해설이 미리 이뤄지는 것, 소셜미디어에 젊은 감성으로 유익한 볼거리와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것, 성악곡의 외국어 가사를 정성껏 잘(!) 번역해 무대 뒷면에 띄우는 것 등 말이다. 정성 들여 진심으로 닿고자 하면 관객이 느낀다.
내 프랑스어 실력이 신통치 않을 뿐더러 관객 중에는 더러 외국인도 있어 나는 영어로 이야기했고, 그걸 여러 언어에 능통한 피아니스트가 프랑스어로 통역했다. 이 상황이 흥미로운지 관객 중 더러는 아는 단어를 대며 통역을 거들었고, 이내 공연장엔 뜻밖에 생기마저 돌았다.
클래식 음악의 오랜 숙제
곡 설명을 두 번이나 들은 청중은 연주가 시작되자 남다른 집중도와 반응을 보였다. 앞서 들은 이야기가 어떤 노래로 펼쳐질지 궁금해하는 호기심 가득 찬 눈빛들과 ‘이게 그 부분이구나’ 하며 호응하는 것 같았다. 행복에 젖은 그들의 미소가 연주자에게도 좋은 피드백으로 돌아왔다.수백 년이 지나도록 사랑받아온 클래식 음악이지만, 본고장에서도 새로운 관객에 대한 갈증은 지속적인 고민이다. 시장과 예술 사이에서 확고히 예술 중심을 지향하는 것엔 변함이 없지만,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시대의 변화는 클래식 음악계에도 유연함을 요구하고 있다. 어느덧 소셜미디어가 공연 모객과 아티스트 홍보에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연 소개 영상을 직접 찍어달라는 부탁도 자주 받는다. 휴대폰 화면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고 이야기하는 것도, 무대복이 아니라 평상복 차림을 보이는 것도 여간 낯설고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재차 시도해도 영 어색하지만, 이것이 공연이나 음반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는 데엔 반론의 여지가 없다.
관객 잡을 키워드는 '다정함'
리사이틀일 경우 짧게라도 무대 위에서 곡 소개를 해달라고 부탁받는 사례가 많아졌다. 가사 때문일 때도 있고, 생소한 고음악이 이유일 때도 있다.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어떻게 핵심을 말해야 할지, 외국어 실력이 탄로 나지는 않을지 걱정되기도 했다. 그런데 기대하지 않은 순간 음악가가 입을 열어 몇 마디 말한 것이 관객들의 눈과 귀, 나아가서는 마음을 활짝 열게 하는 장치일 때가 있다. 연주자와 관객 사이에 빠르게 내적 친밀감, 즉 ‘라포(rapport)’가 형성된 듯 말이다. 위대한 작품들에 기대어 훌륭한 연주를 하는 것만이 최고의 길이라 믿지만, 나의 말을 호의로 받아준 관객들로부터 더 큰 호의를 되돌려 받으니 나쁜 긴장은 없어지고 좋은 긴장이 찾아왔다. ‘이건 반칙인가, 친절함인가?’ 가끔 혼자 묻기도 한다.물론 이런 ‘반칙 또는 친절함’이 늘 필요하거나 가능한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는 더 적극적으로 다정할 필요가 있다. 음악평론가나 칼럼니스트의 전문적이고 흥미로운 해설이 미리 이뤄지는 것, 소셜미디어에 젊은 감성으로 유익한 볼거리와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것, 성악곡의 외국어 가사를 정성껏 잘(!) 번역해 무대 뒷면에 띄우는 것 등 말이다. 정성 들여 진심으로 닿고자 하면 관객이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