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기 프리드라이프 대표 "여행과 결합·AI 추모…젊은 상조 선도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전 모습 기록해 가상인간 구현
2030 가입자가 전체의 15% 달해
올 선수금 2兆…3년새 두 배
2030 가입자가 전체의 15% 달해
올 선수금 2兆…3년새 두 배
“상조가 필수산업이 된 시대입니다. 장례뿐 아니라 결혼, 노후 여행 등 요람에서 무덤까지 생애 전 이벤트를 모두 다루는 새로운 표준을 마련하겠습니다.”
지난 2일 만난 김만기 프리드라이프 대표(사진)는 “단순 상조뿐 아니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0년 김 대표 취임 후 프리드라이프는 장례는 물론 웨딩, 여행, 홈 인테리어 등 생애 전 주기에 걸친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 대표는 “상조회사가 보험사와 다른 점은 서비스 자유도가 높다는 것”이라며 “선납입금을 전환해 어학연수나 크루즈 여행을 떠나도록 하는 일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와 관련, 프리드라이프는 올초 자회사 프리드투어를 합병했다. 엔데믹 후 여행 수요가 늘면서 프리드투어 크루즈 여행 문의가 부쩍 증가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죽음’을 다루지만 상조업계의 최대 화두는 ‘젊은 사람 끌어안기’다. 지난해 기준 프리드라이프의 2030세대 가입자 비중은 전체의 15% 수준이다. 이들과의 공감대를 넓혀 미래 가입자를 늘리겠단 취지다. 회사 로고도 젊은 세대 감성을 고려해 바꿨다. 고객 데이터 플랫폼(CDP)을 도입하기도 했다. 현재 유지 고객은 총 200만 명 정도다. 김 대표는 “고객 빅데이터를 축적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추모 서비스도 시작했다. 생전에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촬영한 추모 대상자의 모습을 AI 딥러닝 기술을 거쳐 가상 인간으로 구현해내는 방식이다. 김 대표는 “새로운 애도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였다”며 “남들과 발맞춰 가려고 늘 유행을 공부한다”고 했다.
상조업계에서 중시하는 ‘선수금’도 꾸준히 쌓이고 있다. 선수금은 계약자가 장례 등 미래에 생길 일에 대비하기 위해 상조회사에 미리 내는 돈이다. 지난 4월 말 업계 최초로 선수금 2조원을 달성했다. 2020년 선수금 1조원을 기록한 후 3년 만에 두 배가 됐다. 지난해 기준 매출은 1787억원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총선수금 1위, 그해 12월 말 기준 총자산 1위를 차지했다. 김 대표는 “선수금이 쌓여갈수록 사람들이 상조회사를 신뢰하고 인정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프리드라이프는 회사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보강하고 내부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했다. 제1금융권 지급 보증도 확대하고 있다.
28년간 보험업계에 몸담은 김 대표는 동양생명 경영전략본부 본부장, ABL생명(옛 알리안츠생명) 전략기획담당 임원 등을 거쳤다. 보험사 경험을 살려 마케팅 조직을 신설하고 서비스 설계사를 늘렸다. 프리드라이프의 전국 사업점 수는 152개다. 3분의 1 이상은 김 대표 취임 후 생겨났다.
김 대표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1인 노인 가구가 급증하는 한국에서 상조는 필수 산업”이라며 “생애 전 주기 서비스를 확장하며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지난 2일 만난 김만기 프리드라이프 대표(사진)는 “단순 상조뿐 아니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0년 김 대표 취임 후 프리드라이프는 장례는 물론 웨딩, 여행, 홈 인테리어 등 생애 전 주기에 걸친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 대표는 “상조회사가 보험사와 다른 점은 서비스 자유도가 높다는 것”이라며 “선납입금을 전환해 어학연수나 크루즈 여행을 떠나도록 하는 일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와 관련, 프리드라이프는 올초 자회사 프리드투어를 합병했다. 엔데믹 후 여행 수요가 늘면서 프리드투어 크루즈 여행 문의가 부쩍 증가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죽음’을 다루지만 상조업계의 최대 화두는 ‘젊은 사람 끌어안기’다. 지난해 기준 프리드라이프의 2030세대 가입자 비중은 전체의 15% 수준이다. 이들과의 공감대를 넓혀 미래 가입자를 늘리겠단 취지다. 회사 로고도 젊은 세대 감성을 고려해 바꿨다. 고객 데이터 플랫폼(CDP)을 도입하기도 했다. 현재 유지 고객은 총 200만 명 정도다. 김 대표는 “고객 빅데이터를 축적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고 말했다.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추모 서비스도 시작했다. 생전에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촬영한 추모 대상자의 모습을 AI 딥러닝 기술을 거쳐 가상 인간으로 구현해내는 방식이다. 김 대표는 “새로운 애도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였다”며 “남들과 발맞춰 가려고 늘 유행을 공부한다”고 했다.
상조업계에서 중시하는 ‘선수금’도 꾸준히 쌓이고 있다. 선수금은 계약자가 장례 등 미래에 생길 일에 대비하기 위해 상조회사에 미리 내는 돈이다. 지난 4월 말 업계 최초로 선수금 2조원을 달성했다. 2020년 선수금 1조원을 기록한 후 3년 만에 두 배가 됐다. 지난해 기준 매출은 1787억원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총선수금 1위, 그해 12월 말 기준 총자산 1위를 차지했다. 김 대표는 “선수금이 쌓여갈수록 사람들이 상조회사를 신뢰하고 인정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프리드라이프는 회사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보강하고 내부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했다. 제1금융권 지급 보증도 확대하고 있다.
28년간 보험업계에 몸담은 김 대표는 동양생명 경영전략본부 본부장, ABL생명(옛 알리안츠생명) 전략기획담당 임원 등을 거쳤다. 보험사 경험을 살려 마케팅 조직을 신설하고 서비스 설계사를 늘렸다. 프리드라이프의 전국 사업점 수는 152개다. 3분의 1 이상은 김 대표 취임 후 생겨났다.
김 대표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1인 노인 가구가 급증하는 한국에서 상조는 필수 산업”이라며 “생애 전 주기 서비스를 확장하며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