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접경지인데 소주병이…" 동호회 연습실 된 백령 대피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ZN.33592198.1.jpg)
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로 백령도 주민들이 몸을 피했던 섬 대피소 29곳 중 4곳이 주민 동호회 연습 공간으로 쓰이고 있다.
대피소를 연습실로 쓰고 있는 4개 동호회는 사용 목적, 인원 등을 적은 신청서만 제출하면 대피소를 항상 쓸 수 있다고 한다.
기간제와 공무직 등 인력 3명이 매일 대피소 29곳을 돌며 관리하지만, 업무 외 사각 시간대에는 대피소 관리를 동호회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다. 이후 '안전불감증'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일 오후 인천 옹진군 백령도 백령면 9호 대피시설에서 면사무소와 군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ZA.33608444.1.jpg)
이 대피소는 드럼 동호회가 사용해왔고, 대피 당시 동호회가 버린 소주병 등 쓰레기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더욱이 섬 대피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까지 동호회 구성원인 것으로 알려져 주민들의 불신이 더 커졌다.
옹진군 관계자는 "경계경보 발령 때 정확히는 대피소 이동을 준비하라고 했으나 면사무소 직원들이 문을 개방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이어서 잘잘못을 따지기는 어렵다"며 ""CCTV가 있으면 대피소를 24시간 개방할 수 있고 관리도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