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남주 캠코 사장이 PF 사업장 정상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권남주 캠코 사장이 PF 사업장 정상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시스템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선제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권남주 캠코 사장 "PF부실 선제 대응에 총력"
권남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25년간 캠코가 쌓은 부실 구조조정 노하우와 역량을 모두 쏟아붓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사장은 서울은행에 재직하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 캠코에 합류해 부동산사업부장 PF채권관리부장 채권인수부장 등을 맡았다. 금융권에선 그를 부실 구조조정 최고 전문가로 꼽는다. 권 사장은 이런 능력을 인정받아 그동안 기획재정부 등 고위 관료 출신이 맡아온 관행을 깨고 캠코 내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지난해 1월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작년 하반기부터 고금리 기조로 집값이 하락하는 등 부동산시장에 경고음이 울렸다. 강원도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PF 문제가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캠코는 다시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부실을 해소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조성하기로 하고 이를 캠코에 맡긴 것이다. 캠코는 이달 운용사 다섯 곳을 선정해 1000억원씩 투자하고, 이들 운용사가 시장에서 1000억원을 자체 조달해 각각 2000억원 규모의 펀드 5개를 운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캠코는 2011년 저축은행사태 때 다수 PF 사업장을 구조조정한 경험이 있다. 권 사장은 당시 PF채권관리부장을 맡아 실무를 총괄했다. 그는 “고금리에 따른 미분양 적체 등으로 PF 사업 환경이 악화하면서 금융회사의 차입금 상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과거 저축은행사태와 꼭 닮았다”며 “아직 금융회사 부실이 현실화하지 않은 만큼 연착륙을 위한 골든타임이 남아 있는 셈”이라고 했다.

캠코는 저축은행사태 당시에도 매각이 필요한 사업장과 정상화를 지원해야 할 사업장을 구분해 경·공매, 개발인수자 발굴 등 ‘맞춤형 처방’을 내렸다. 권 사장은 “채권관리 및 개발사업 전문 직원과 회계법인으로 구성된 정상화 추진단을 꾸렸다”며 “이후 채권단과 협의를 통해 원리금 감면 및 상환 유예, 신규 자금에 대한 선순위를 인정하는 채무조정 방식의 지원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권 사장은 “이번 PF 구조조정 사업에서 캠코의 역할은 이전과는 조금 다를 것”이라고 했다.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인정되는 사업장은 지난 4월부터 가동된 대주단협의체를 통해 채권·채무 재조정 등이 이뤄진다. 이를 통해서도 문제 해결이 어렵다면 캠코의 ‘1조 펀드’가 나선다.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인지, 빠르게 매각해야 할 곳인지도 캠코가 아닌 민간 운용사가 1차적으로 판단한다. 권 사장은 “채권단 구성이 상호금융, 캐피털사, 증권사, 은행 등으로 다양해진 만큼 전문성을 갖춘 민간 운용사의 역할이 중요해졌다”며 “캠코는 매각 플랫폼 역할을 맡아 자본시장 중심의 민간 자율 재구조화를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25년간 부실채권 인수정리 업무의 선봉에 섰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해 PF 사업장 지원 펀드의 성공적인 운영을 도울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정부와 채권단, 시행사, 시공사 등과 긴밀한 협업이 필요한 만큼 이들과의 소통을 주도하며 해결책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