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공무원 "기회되면 언제든 사표" 65%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9급 '이직 의향' 설문
낮은 보수가 가장 큰 이유
젊고 고학력일수록 높아
낮은 보수가 가장 큰 이유
젊고 고학력일수록 높아
20~30대 공무원 10명 중 6명 이상은 기회가 있다면 이직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리던 공직사회가 이제는 ‘떠나고 싶은 직장’으로 바뀌고 있는 모습이다.
6일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졸 이상이며 재직 기간 5년 이하인 20∼30대 하위직(6∼9급) 공무원 중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65.3%에 달했다. 이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6000명 전체의 이직 의향 응답 비율(45.2%)보다 20.1%포인트 높았다.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한 전체 공무원 응답 비율(45.2%)도 전년(33.5%) 대비 11.7%포인트 늘었다. 2011년 공직생활 실태조사가 실시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는 것이 연구원 설명이다.
2030 공무원은 이직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낮은 보수’(74.1%)를 꼽았다. 전체 집단도 이직 희망 1순위로 보수를 들었지만 비율은 54.1%로 2030보다 20%포인트 낮았다. 젊고, 재직 기간이 짧으며 고학력 공무원일수록 이직 의향이 높았다.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61.3%, 30대는 58.9%였다. 40대는 42.6%, 50대 이상은 29.8%였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박사 졸업자의 이직 의향이 54.3%로 가장 높았다. 석사 졸업 43.6%, 대졸(4년제) 46.7%, 고졸 이하 38.0%, 전문대 졸업 28.1% 순이었다.
공직가치 인식과 공공봉사 동기 인식, 조직몰입 인식, 직무만족 인식 등은 최근 5년간 모두 하락 추세였다. 특히 2030 공무원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봉사는 매우 중요하다’는 공직가치 인식이 33.5%로 전체 응답자(53.2%)보다 크게 낮았다. 이들은 업무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응답도 37.5%에 그쳤다. 특히 공무원이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2030 공무원은 65.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행정연구원 관계자는 “공직사회 인적자원 유출 방지를 위해 복리후생제도를 개선하고 연공급제 중심 보수체계를 성과와 생산성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6일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졸 이상이며 재직 기간 5년 이하인 20∼30대 하위직(6∼9급) 공무원 중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65.3%에 달했다. 이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6000명 전체의 이직 의향 응답 비율(45.2%)보다 20.1%포인트 높았다.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한 전체 공무원 응답 비율(45.2%)도 전년(33.5%) 대비 11.7%포인트 늘었다. 2011년 공직생활 실태조사가 실시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는 것이 연구원 설명이다.
2030 공무원은 이직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낮은 보수’(74.1%)를 꼽았다. 전체 집단도 이직 희망 1순위로 보수를 들었지만 비율은 54.1%로 2030보다 20%포인트 낮았다. 젊고, 재직 기간이 짧으며 고학력 공무원일수록 이직 의향이 높았다.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61.3%, 30대는 58.9%였다. 40대는 42.6%, 50대 이상은 29.8%였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박사 졸업자의 이직 의향이 54.3%로 가장 높았다. 석사 졸업 43.6%, 대졸(4년제) 46.7%, 고졸 이하 38.0%, 전문대 졸업 28.1% 순이었다.
공직가치 인식과 공공봉사 동기 인식, 조직몰입 인식, 직무만족 인식 등은 최근 5년간 모두 하락 추세였다. 특히 2030 공무원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봉사는 매우 중요하다’는 공직가치 인식이 33.5%로 전체 응답자(53.2%)보다 크게 낮았다. 이들은 업무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응답도 37.5%에 그쳤다. 특히 공무원이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2030 공무원은 65.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행정연구원 관계자는 “공직사회 인적자원 유출 방지를 위해 복리후생제도를 개선하고 연공급제 중심 보수체계를 성과와 생산성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