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수소모빌리시 선도도시 서울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추형욱 SK E&S 사장, 한화진 환경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사장이 수소버스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수소모빌리시 선도도시 서울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추형욱 SK E&S 사장, 한화진 환경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사장이 수소버스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는 7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환경부, SK E&S, 티맵모빌리티와 함께 서울시의 시내버스와 공항버스, 통근버스 등을 수소 버스로 전환하기 위한 '수소 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조성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서울시는 2026년까지 300여대의 공항버스를 포함해 대중교통 1300여대를 수소 버스로 전환하고 버스 전용 충전소 5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며 환경부는 수소 버스 전환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한다.

현대차는 2026년까지 공항버스를 포함해 서울시가 수소 버스 전환을 목표로 하는 저상·고상 수소 버스를 적기에 생산해 공급할 예정이다.

SK E&S는 안정적인 액화수소 생산과 공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에 노력하고 티맵모빌리티는 경유 공항버스 등을 수소 버스로 조기에 전환하는 데 협력한다.

현대차가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수소 버스는 충전 시간이 30분 이내로 전기버스보다 더 짧고, 주행 거리는 내연기관 차량과 비슷한 약 600㎞ 이상으로 대중교통 버스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 밖에 일반 시내버스뿐 아니라 공항버스 등 장거리 노선 운행 버스의 친환경성을 높이는 데도 유리하다. 현대차는 2020년부터 서울시에 수소 버스를 시내버스로 보급해왔으며 연내에는 고상 수소 버스를 공항버스로 공급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향후에도 수소 버스의 적기 공급을 위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노력할 계획이며,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1일 500㎏ 규모의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 등 국내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