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만에 재회한 바스키아와 워홀, 치열했던 두 예술가의 대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아트
파리 루이비통 재단 '바스키아×워홀, 4개의 손으로 그린 그림'展
팝아트 대가였던 앤디 워홀과
천재 낙서화가로 불린 바스키아
1983년부터 3년간 160점 협업
워홀이 친숙한 상품로고 보내면
바스키아가 사회메시지 얹는 식
상반된 세계관 담겨 보는 재미
서로 영감 주는 '뮤즈'였지만
NYT 혹평 이후로 점차 멀어져
파리 루이비통 재단 '바스키아×워홀, 4개의 손으로 그린 그림'展
팝아트 대가였던 앤디 워홀과
천재 낙서화가로 불린 바스키아
1983년부터 3년간 160점 협업
워홀이 친숙한 상품로고 보내면
바스키아가 사회메시지 얹는 식
상반된 세계관 담겨 보는 재미
서로 영감 주는 '뮤즈'였지만
NYT 혹평 이후로 점차 멀어져
![장 미셸 바스키아 X 앤디 워홀, Collaboration No. 19 (1984~1985)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51178.1.jpg)
물감 마르기 전 워홀에 그림 선물한 바스키아
![앤디 워홀과 장 미셸 바스키아](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51186.1.jpg)
1970년대 후반, 그리니치빌리지 길거리에서 ‘세이모(SAMO)’라는 그룹명으로 활동하던 바스키아를 워홀은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두 사람이 공식적으로 만나게 된 것은 워홀과 바스키아의 미술품 중개인이자 갤러리스트였던 브루노 비쇼프버거 때문이다. 1982년 10월 4일 그의 주선으로 두 작가는 함께 점심을 먹었고, 식사 후 바스키아는 자신의 작업실에 돌아가 두 시간 만에 그린 워홀과 자신의 초상화를 워홀에게 선물했다. 물감이 다 마르기도 전 워홀의 팩토리에 도착한 그 그림이 바로 현대미술에서 손꼽히는 대작 ‘도스카베자스(Dos Cabezas)’다. 둘의 관계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초창기 이들은 비쇼프버거의 제안으로 프란체스코 클레멘테와 함께 작품을 공동 제작했다. 세 아티스트는 1983년 말부터 10여 점의 작품을 함께 완성했으나, 이후 바스키아와 워홀 두 명만 공동으로 작업했다. 워홀은 바스키아의 오래된 우상이자, 팝아트의 대가로 이미 미술계에서 영향력 있는 예술가로 자리매김한 인물. 바스키아는 사회적 메시지를 자유롭고 과감한 표현력으로 담아내는 신예로 뉴욕에서 급부상 중이었다.
두 사람의 사회적 힘의 구조는 차이가 났지만, 예술가로서는 대등한 관계였다. 공동 작업은 종종 워홀로부터 시작됐다. 워홀이 먼저 뉴스 기사, 상품 로고 등의 모티브를 제공하면 그 위에 바스키아가 더하고 제거하는 식으로 덧칠했다. 바스키아가 먼저 채색을 시작할 때도 있었다. 두 사람이 만들어가는 예술적 교류 방식에 정해진 틀은 없었다.
성공적 협업에도 조롱받았던 첫 전시
![40년 만에 재회한 바스키아와 워홀, 치열했던 두 예술가의 대화](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63126.1.jpg)
![파리 루이비통재단 미술관에에서 열리고 있는 ‘바스키아×워홀, 4개의 손으로 그린 그림’전시회.](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652658.1.jpg)
전시장의 많은 작품은 두 작가 각자의 예술적 가치관과 표현적 특징이 도드라지면서 함께 조화를 이룬다. 워홀은 다수의 그림에 파란색 제너럴일렉트릭(GE) 로고를 그려 넣었는데, 이 브랜드는 미국식 생활 방식을 보여주는 아이콘 중 하나였다. 1950년대 거의 모든 가정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워홀은 대중에게 친숙한 일상 물건을 소재로 선택함으로써 소비문화의 시대상을 팝아트적으로 표현했다.
워홀이 채택한 상품 로고, 신문 텍스트 주위에는 바스키아가 그려 넣은 흑인 인물과 아프리칸 마스크, 흑인을 비하하는 말인 ‘Negro’라는 문구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바스키아는 인종차별의 구조적 문제, 그로 인한 세간의 사건, 죽음의 두려움 등의 주제를 특유의 인물 표현과 색감, 텍스트로 표현했다.
워홀의 ‘손그림’ 부활…영감을 준 바스키아
비평가들의 조롱에도 두 작가가 만들어낸 예술적 하모니는 지금까지도 많은 의미를 지닌다. 바스키아와 함께 그림을 그리며 워홀은 몇 년간 하지 않았던 손그림을 다시 그리기 시작했다. 한동안 사진 작업에 심취했던 워홀은 바스키아의 살아 있는 드로잉과 페인팅을 접하며 순수한 영감을 받았다. 기법뿐만 아니다. 워홀은 이때부터 내면의 감정과 개인적 의미를 작품에 담기 시작했는데, 이전까지 감정을 배제한 차가운 느낌의 기존 표현법과는 전혀 달랐다. 작품 ‘China Paramount’에서 찾아볼 수 있는 Paramount 로고는 존 굴드에 대한 워홀의 개인적 찬사였다.바스키아 또한 워홀의 영향으로 아이디어와 작업 진행에서 큰 성취를 이뤘다. 두 작가의 공동 프로젝트는 비단 작업을 함께 해나가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두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강력한 대화의 방식이자 두 세계의 더 큰 확장이 일어나는 경험이었던 것이다.
두 예술가의 친구였던 키스 해링은 네 개의 손이 그린 그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두 개의 비범한 정신이 결합해 독특하고 완전히 다른 ‘제3의 정신’을 창조했다.”
신미래 아르떼 파리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