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이 뉴스 댓글 서비스를 개편했다. ‘악플’의 사회적 폐해를 막기 위한 조치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포털에 대한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사전 대응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는 8일 다음 뉴스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 ‘타임톡’ 베타 버전을 도입했다. 타임톡은 이용자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채팅형 댓글 서비스다. 기존 추천순·찬반 순 정렬과 같이 일부 댓글을 상위에 보여주는 형태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이 실시간으로 다양한 의견을 교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타임톡은 기사마다 24시간만 제공된다. 이 시간이 지나면 댓글 창이 사라져 댓글을 달거나 읽을 수 없다. 카카오는 “기사 발행 후 이용자들이 해당 기사를 활발히 읽는 시간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욕설이나 불쾌감을 주는 메시지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고 자동으로 가려주는 ‘세이프봇’ 기능도 모든 댓글에 일괄 적용했다. 타임톡 첫 화면에 세이프봇이 작동 중이란 사실도 고지해 이용자의 건전한 댓글을 유도했다. 이전에는 세이프봇 기능을 선택할 수 있었다.

기존 댓글 서비스에서 작성한 댓글은 서비스 화면에서 확인할 수 없다. 타임톡 적용 전에 작성한 댓글은 오는 9월 5일까지 이메일로 신청하면 백업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이용자는 작성 가능 시간이 한정됐고 기록도 남지 않아 사실상 댓글 서비스가 사라졌다며 반발하고 있다.

네이버도 이날부터 뉴스 댓글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이용 제한 상태를 노출하기 시작했다. 댓글 제한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도 다른 사람이 모두 볼 수 있도록 했다. 신원은 알 수 없지만 특정 사용자가 악플을 상습적으로 달고 다닌다는 사실은 알 수 있는 셈이다. 이용 제한 상태를 해제하려면 퀴즈를 풀어야 하는 등의 정책을 조만간 도입한다.

업계에선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질 것에 대비하기 위해 이 같은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포털의 공정성을 두고 여야가 한목소리로 비판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란 설명이다.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키워드 추천 서비스인 ‘트렌드 토픽’, ‘투데이 버블’을 운영하겠다고 예고하자 정치권에선 ‘실시간 검색어 부활’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두 포털의 언론사 뉴스 제휴 심사를 맡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도 활동을 잠정 중단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