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자조금관리위,생산비 급등 여파로 지난 2년사이 낙농가 300여호 폐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산비 상승으로 낙농가의 젖소 마리당 순이익 급격히 하락
젖소사육두수 및 원유(原乳)생산량 감소세 지속, 우유생산기반 붕괴조짐
낙농업계 전문가들, 생산비 급등과 수익성 악화에 따라 올해 원유(原乳)가격 조정 불가피
젖소사육두수 및 원유(原乳)생산량 감소세 지속, 우유생산기반 붕괴조짐
낙농업계 전문가들, 생산비 급등과 수익성 악화에 따라 올해 원유(原乳)가격 조정 불가피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사료가격 폭등 등 생산비 상승으로 낙농가의 목장 경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낙농진흥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수는 4,600호로 전년대비 133호(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2년사이 폐업한 낙농가수가 300여호에 달한다. 낙농업계에 따르면 사료비 등 생산비가 급등하면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낙농가 폐업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지난 5월 26일 발표한 ‘2022년 축산물생산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우유생산비는 2021년 대비 115.76원(13.7%) 상승한 958.71원/L로 나타났다. 우유생산비 증가액(116원)의 84%는 사료비(81원↑, 70.1%)와 부산물 수입(16원↓, 13.9%)이 차지하고 있다.
젖소용 배합사료 평균가격은 2021년(525원/kg) 대비 2022년(645원/kg) 22.9% 상승했으며, 젖소 수송아지(1주일령) 산지가격은 2021년(537천원) 대비 2022년(169천원) 68.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비 급등 및 산유량 감소에 따라 ’22년 젖소 마리당 순수익은 ’21년대비 37.2%(904천원) 감소한 1,529천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낙농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소규모 농가(50마리 미만)의 경우, ’22년 젖소 마리당 순수익은 1천원으로 전년대비 1,093천원(99.9%)이나 감소해 생산비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낙농가 폐업의 원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사료값 상승 등 생산비 급등으로 인해 소규모 농가 중심으로 폐업이 이어지면서 낙농생산 기반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낙농진흥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22년 낙농가수 4,600호로 ’21년(4,733호) 대비 133호(4.0%) 감소했으며, ’22년 젖소사육두수는 390천두로 ’21년(401천두) 대비 11천두(2.7%) 감소했다. 또한 ’22년 원유(原乳)생산량은 1,977천톤으로 ’21년(2,034천톤) 대비 57천톤(2.8%) 감소했다.
젖소사육두수 감소에 따른 우유생산량 감소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젖소관측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젖소사육두수는 전년동기(397천두) 대비 3.0% 감소한 38만 5천두이며, 1분기 원유생산량은 전년동기(498천톤) 대비 3.0% 감소한 483천톤으로 나타났다.
생산비 급등과 낙농가 수익성 악화는 부채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낙농가 호당 부채액(’22년)은 512,620천원으로 ’20년대비(424,400천원) 대비 88,220천원(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억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는 낙농가가 전체농가의 49.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낙농업계 전문가들은 사료값 상승 등 생산비 급등과 수익성 악화에 따라 낙농가의 우유생산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올해 원유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우유생산비를 1~2년 단위로 뒤늦게 원유가격에 반영되는 구조로 농가가 일정기간 생산비 상승폭을 감내하고 있는 반면, 외국은 낙농가의 생산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원유가격을 신속히 반영하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은 지난해 원유가격이 55% 상승하였으며, EU는 지난해 원유가격이 37% 상승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통계청이 지난 5월 26일 발표한 ‘2022년 축산물생산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우유생산비는 2021년 대비 115.76원(13.7%) 상승한 958.71원/L로 나타났다. 우유생산비 증가액(116원)의 84%는 사료비(81원↑, 70.1%)와 부산물 수입(16원↓, 13.9%)이 차지하고 있다.
젖소용 배합사료 평균가격은 2021년(525원/kg) 대비 2022년(645원/kg) 22.9% 상승했으며, 젖소 수송아지(1주일령) 산지가격은 2021년(537천원) 대비 2022년(169천원) 68.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비 급등 및 산유량 감소에 따라 ’22년 젖소 마리당 순수익은 ’21년대비 37.2%(904천원) 감소한 1,529천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낙농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소규모 농가(50마리 미만)의 경우, ’22년 젖소 마리당 순수익은 1천원으로 전년대비 1,093천원(99.9%)이나 감소해 생산비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낙농가 폐업의 원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사료값 상승 등 생산비 급등으로 인해 소규모 농가 중심으로 폐업이 이어지면서 낙농생산 기반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낙농진흥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22년 낙농가수 4,600호로 ’21년(4,733호) 대비 133호(4.0%) 감소했으며, ’22년 젖소사육두수는 390천두로 ’21년(401천두) 대비 11천두(2.7%) 감소했다. 또한 ’22년 원유(原乳)생산량은 1,977천톤으로 ’21년(2,034천톤) 대비 57천톤(2.8%) 감소했다.
젖소사육두수 감소에 따른 우유생산량 감소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젖소관측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젖소사육두수는 전년동기(397천두) 대비 3.0% 감소한 38만 5천두이며, 1분기 원유생산량은 전년동기(498천톤) 대비 3.0% 감소한 483천톤으로 나타났다.
생산비 급등과 낙농가 수익성 악화는 부채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낙농가 호당 부채액(’22년)은 512,620천원으로 ’20년대비(424,400천원) 대비 88,220천원(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억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는 낙농가가 전체농가의 49.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낙농업계 전문가들은 사료값 상승 등 생산비 급등과 수익성 악화에 따라 낙농가의 우유생산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올해 원유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우유생산비를 1~2년 단위로 뒤늦게 원유가격에 반영되는 구조로 농가가 일정기간 생산비 상승폭을 감내하고 있는 반면, 외국은 낙농가의 생산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원유가격을 신속히 반영하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은 지난해 원유가격이 55% 상승하였으며, EU는 지난해 원유가격이 37% 상승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