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한우물파기 연구자' 김유형 "암환자 치료비 최소화가 목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벨상? 받고 싶죠…"의사과학자는 임상서 생긴 질문 스스로 해결하는 의사"
10년간 18억원 연구비 지원받아…서울대병원서 조교수로 진료 병행 "의사과학자들은 의사로서 임상에서 생긴 질문을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입니다.
"
의사과학자로서 올해 초 정부의 '한 우물 파기 연구자'에 선정, 앞으로 10년간 정부로부터 모두 18억2천만원의 연구비를 받게 된 김유형(37)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료조교수는 1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의사과학자를 한마디로 정의해달라'는 기자의 요청에 이같이 답했다.
김 교수는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가 양쪽 끝에 있다고 한다면 연구하고 논문을 쓰는 많은 의사는 이 스펙트럼 안에서 의사과학자로 살아간다고 생각한다"며 "임상 환경에서 생기는 수많은 질문을 내버려 두지 않고 내 손으로 해결하려고 나서는 이들이 의사 과학자"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교수가 앞으로 10년간 몰두할 연구는 '암 조직 주변의 혈관을 표적으로 한 부작용 없는 항암제 개발'이다.
암 조직을 먹여 살리는 혈관을 못 자라게 해서 암을 없애는 혈관 표적항암제는 현재도 많이 개발돼 있지만, 암 조직 주변뿐 아니라 다른 혈관들까지 역할을 제대로 못 하게 만드는 등 부작용이 크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혈관 타깃 항암제로 암이 완치되더라도 다른 장기가 망가져 그것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을 먹어야 하는 상황을 막고 싶다"고 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병원으로 오기 전 4년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하며 혈관 연구에 몰두했다.
특히 기존 혈관에서 새로 혈관이 생겨나는 과정에 집중했는데, 이 과정에서 특정한 유전자들을 차단하면 혈관 신생은 억제하면서도 정상 혈관은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같은 유전자들을 잘 조절할 수 있다면 다른 혈관에는 영향 없이 암세포 주변 혈관의 생성을 막아 암의 성장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현재 연구의 착안점이다.
그는 그동안 참여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등 외국 학술지에 다수 발표했다.
김 교수는 현재 진료조교수로서 주중 근무 시간 절반은 서울대병원 본원과 암병원에서 외래진료와 초음파 세션을 담당한다.
과학자로서 연구는 그 외 시간을 더 쪼개서 한다고 했다.
그는 한 우물 파기 연구자에 선정돼 원하는 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 너무 기쁘고 감사하다고 했다.
"진료 조교수라는 직책에서 연구실을 갖고 연구하기가 쉽지는 않거든요.
이번 선정으로 병원에서도 연구지원을 많이 해주고, 연구 시간도 확보되고 함께 할 연구원도 구할 수 있게 돼 큰 도움이 됐습니다.
"
대구에서 고등학교에 다닐 때는 수학자를 꿈꾸기도 했다는 김 교수는 "의학을 전공해도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아버지의 조언을 받아들여 충남대 의대로 진학했다.
그가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도 KAIST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등 연구자의 길을 가려는 선택의 순간에 부모님은 항상 그의 결정을 지지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정부가 추진하는 의사과학자 양성 계획에 경제적인 부분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라고 조언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만해도 입학생의 30% 정도는 자신과 같이 기초연구를 하고 싶어 온 의사들이지만, 가족 부양 등 이유로 연구자의 길을 이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대학원을 마칠 즈음 기초연구자에 대한 수요가 있던 서울대병원으로 올 수 있었고 정부의 연구비 지원까지 받게 된 자신은 매우 운이 좋은 사례라고 했다.
김 교수는 '노벨상에 욕심은 없느냐'는 질문에 망설임 없이 "누구나 있지 않겠느냐. 노벨상 받고 싶다"고 웃었다.
그는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혼조 다스쿠 교수가 1990년대 면역항암제 개발의 근간이 된 발견을 하고 이것이 널리 활용되며 지난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까지 수상한 사례를 언급하며 "암 환자의 삶의 질 악화를 막고 의료비 지출을 최소화하는 등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0년간 18억원 연구비 지원받아…서울대병원서 조교수로 진료 병행 "의사과학자들은 의사로서 임상에서 생긴 질문을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입니다.
"
의사과학자로서 올해 초 정부의 '한 우물 파기 연구자'에 선정, 앞으로 10년간 정부로부터 모두 18억2천만원의 연구비를 받게 된 김유형(37)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료조교수는 1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의사과학자를 한마디로 정의해달라'는 기자의 요청에 이같이 답했다.
김 교수는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가 양쪽 끝에 있다고 한다면 연구하고 논문을 쓰는 많은 의사는 이 스펙트럼 안에서 의사과학자로 살아간다고 생각한다"며 "임상 환경에서 생기는 수많은 질문을 내버려 두지 않고 내 손으로 해결하려고 나서는 이들이 의사 과학자"라고 힘주어 말했다.
김 교수가 앞으로 10년간 몰두할 연구는 '암 조직 주변의 혈관을 표적으로 한 부작용 없는 항암제 개발'이다.
암 조직을 먹여 살리는 혈관을 못 자라게 해서 암을 없애는 혈관 표적항암제는 현재도 많이 개발돼 있지만, 암 조직 주변뿐 아니라 다른 혈관들까지 역할을 제대로 못 하게 만드는 등 부작용이 크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혈관 타깃 항암제로 암이 완치되더라도 다른 장기가 망가져 그것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을 먹어야 하는 상황을 막고 싶다"고 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병원으로 오기 전 4년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하며 혈관 연구에 몰두했다.
특히 기존 혈관에서 새로 혈관이 생겨나는 과정에 집중했는데, 이 과정에서 특정한 유전자들을 차단하면 혈관 신생은 억제하면서도 정상 혈관은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같은 유전자들을 잘 조절할 수 있다면 다른 혈관에는 영향 없이 암세포 주변 혈관의 생성을 막아 암의 성장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현재 연구의 착안점이다.
그는 그동안 참여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등 외국 학술지에 다수 발표했다.
김 교수는 현재 진료조교수로서 주중 근무 시간 절반은 서울대병원 본원과 암병원에서 외래진료와 초음파 세션을 담당한다.
과학자로서 연구는 그 외 시간을 더 쪼개서 한다고 했다.
그는 한 우물 파기 연구자에 선정돼 원하는 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 너무 기쁘고 감사하다고 했다.
"진료 조교수라는 직책에서 연구실을 갖고 연구하기가 쉽지는 않거든요.
이번 선정으로 병원에서도 연구지원을 많이 해주고, 연구 시간도 확보되고 함께 할 연구원도 구할 수 있게 돼 큰 도움이 됐습니다.
"
대구에서 고등학교에 다닐 때는 수학자를 꿈꾸기도 했다는 김 교수는 "의학을 전공해도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아버지의 조언을 받아들여 충남대 의대로 진학했다.
그가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도 KAIST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등 연구자의 길을 가려는 선택의 순간에 부모님은 항상 그의 결정을 지지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정부가 추진하는 의사과학자 양성 계획에 경제적인 부분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라고 조언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만해도 입학생의 30% 정도는 자신과 같이 기초연구를 하고 싶어 온 의사들이지만, 가족 부양 등 이유로 연구자의 길을 이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대학원을 마칠 즈음 기초연구자에 대한 수요가 있던 서울대병원으로 올 수 있었고 정부의 연구비 지원까지 받게 된 자신은 매우 운이 좋은 사례라고 했다.
김 교수는 '노벨상에 욕심은 없느냐'는 질문에 망설임 없이 "누구나 있지 않겠느냐. 노벨상 받고 싶다"고 웃었다.
그는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혼조 다스쿠 교수가 1990년대 면역항암제 개발의 근간이 된 발견을 하고 이것이 널리 활용되며 지난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까지 수상한 사례를 언급하며 "암 환자의 삶의 질 악화를 막고 의료비 지출을 최소화하는 등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