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남성현 산림청장이 올해 전국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남성현 산림청장이 올해 전국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주민들 사는 동네에 산사태가 날지 이틀 전 미리 알려주는 예보 시스템을 가동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전국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산림청은 주민 대피 시간 확보를 위해 24시간 전 제공하던 산사태 예측정보를 48시간 전까지로 앞당겨 제공하기로 했다.

산사태 위험예보도 산사태 예보(1∼12시간)와 예비특보(24∼48시간)로 세분화했다.

산림청은 산사태 예측정보 제공 시간을 기존 1시간 전에서 2021년에는 12시간 전, 지난해에는 24시간 전에 제공하는 등 관련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다.

산사태와 관련한 부처 협업도 강화된다.

급경사지와 도로 비탈면 등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에서 관리 중인 재해 위험성이 큰 사면정보 4만8000여건을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연계해 관리할 계획이다.

태양광 시설과 벌채지, 풍력 시설, 산불피해지 등 인위적 변화지역을 반영한 산사태 위험지도도 제공할 예정이다.

산림 재해에 대응하고 농·산촌 생활용수 공급 등을 위한 다목적 사방댐도 올해 62억원을 들여 국유림 1곳·사유림 3곳 등 4곳에 구축한다.

라이다(LiDAR)·드론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신속·정확한 산사태 피해지 조사에 나서고, 산사태 관련 공간 정보·통계 관리도 강화한다.

지난해 산사태 피해 면적은 327㏊로, 최근 10년 평균 244㏊보다 34% 증가했다.

복구 비용도 749억원에 달했다.

최근 10년간 전체 피해의 82%가 7월(45㏊·19%)과 8월(152㏊·63%)에 발생한 가운데 최근 20년 내 처음으로 지난 5월(4∼6일)에도 산사태 피해가 났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숲 가꾸기를 통해 산사태에 버틸 수 있는 건강한 숲을 조성하겠다”며 “과학을 기반으로 한 철저한 사전 예방과 신속한 대응·복구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