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쩍 마른 사자의 모습. /사진=김해시청 홈페이지 '시장에게 바란다' 캡처, 연합뉴스
삐쩍 마른 사자의 모습. /사진=김해시청 홈페이지 '시장에게 바란다' 캡처, 연합뉴스
경남의 유일한 민간동물원이 최근 사육 동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동물원 측은 경영난으로 인한 동물 관리 부실을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해시청 홈페이지 '김해시장에 바란다'에는 이달 들어 김해 유하동의 한 민간동물원에 대한 시민들의 연이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시민들은 "고통받는 동물에게 자유를 주세요", "방치된 동물에 무관심한 김해시", "동물 복지에 신경 써주세요" 등의 반응을 보이며 지적에 나섰다. 일부 시민들은 동물원 폐쇄를 요구했다.

시민들은 삐쩍 마른 사자와 털깎기하지 않아 지저분하고 덥수룩한 양 등 제대로 돌봄을 받지 못하는 동물들의 사진을 함께 올리며 "좁고, 청소 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낡은 열악한 시설에서 동물들이 고통받는다"고 주장했다.

이 동물원은 실내외에서 사자, 호랑이, 원숭이 등 30여종의 동물 총 100여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해와 인근 창원을 중심으로 아이들이 딸린 가족들에게 특히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털을 깎지 못해 덥수룩한 모습을 하고 있는 양. /사진=김해시청 홈페이지 '시장에게 바란다' 캡처, 연합뉴스
털을 깎지 못해 덥수룩한 모습을 하고 있는 양. /사진=김해시청 홈페이지 '시장에게 바란다' 캡처, 연합뉴스
하지만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입장객이 급감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이에 이 동물원 대표는 경영난으로 동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 동물원 대표는 연합뉴스에 "코로나19로 방문객이 거의 60%나 감소했다"며 "수입으로 동물원 운영이 어려워 10명이던 직원이 4명까지 줄었지만, 동물을 굶긴 적은 없다. 동물을 학대하는 악덕 업주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야생 사자의 수명은 15년에 미치지 못한다"며 "(시민들이) 삐쩍 말랐다고 하는 사자는 2006년생으로, 사람으로 치면 100살 정도 된다. 너무 늙어서 말라 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이곳의 동물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해시 측이 매달 수의사를 보내 이 동물원 동물 건강 상태를 점검했으나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김해시는 "이 동물원 시설이 지금의 동물복지 기준과는 맞지 않아 동물 건강을 주기적으로 점검 중이다"며 "동물원 대표에게는 시설 개선이나 폐쇄 등을 계속 이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동물원은 2013년 문을 열었다. 당시에는 동물원·수족관의 허가와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동물원 및 수족관에 관한 법률'이 없었던 때로 파악됐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