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꾸준히 돈 풀자…엔화 사서 투자하는 '이 전략'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 통화완화 정책 고수로 '엔캐리 트레이드' 부상
30개 통화 중 유일하게 3개월 수익률 마이너스
일본 내 외국계 은행의 해외지사 대출 48% 늘어
우에다 총재 부임했지만 "완화정책 유지할 것"
"낮은 변동성은 엔캐리 트레이드에 유리한 환경"
30개 통화 중 유일하게 3개월 수익률 마이너스
일본 내 외국계 은행의 해외지사 대출 48% 늘어
우에다 총재 부임했지만 "완화정책 유지할 것"
"낮은 변동성은 엔캐리 트레이드에 유리한 환경"
![지난달 26일 서울 명동 환전소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이날 엔달러 환율은 반년만에 달러당 140엔을 돌파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09104.1.jpg)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의 비둘기파적 입장으로 인해 가장 매력적인 자금 조달 통화로서 엔화의 지위가 굳혀졌다"며 "이는 엔화 약세 추세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캐리 트레이드는 두 국가의 금리 차를 이용해 금리가 낮은 국가의 통화를 대출, 금리가 높은 국가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엔캐리 트레이드는 마이너스 금리인 엔화를 대출해 해외에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엔캐리 트레이드의 지표로 평가되는 '일본 내 외국계 은행의 해외지사 대출 엔화 금액'은 2021년 말 이후 48% 증가해 4월 말 12조9000억엔(약 117조원)에 달했다. 엔화를 매도해 미국·캐나다·뉴질랜드·호주 달러와 파운드를 매수하는 캐리 트레이드는 2019년 말 이래 19%의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S&P 500 지수 수익률은 -8%였다.
7년째 이어지고 있는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는 엔캐리 트레이드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고 있다. 일본은행은 2016년 2월 기준 금리를 -0.1%로 낮춘 이후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대표적인 엔저론자인 구로다 하루히코 전 총재가 10년만에 물러나고 우에다 총재가 지난 4월 부임하면서 통화 정책이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그러나 우에다 총재는 지난 2일 "물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것이기 때문에 완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을 일축헀다.
블룸버그가 30개 통화의 3개월 국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엔화는 -0.4%로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인기 자금조달 통화인 스위스 프랑보다도 1.8%포인트 낮은 수치다. 엔화 조달 비용이 다른 해외 통화와 비교해 저렴하다는 뜻이다.
일본 중앙은행이 당분간 통화 완화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책 변동으로 인한 위험성도 크지 않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블룸버그가 조사한 경제 전문가의 절반 이상은 일본이 올해 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일본 통화 및 금리 전략 책임자인 슈스케 야마다는 "특히 변동성이 낮아지면 캐리 트레이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시장 참여자들은 일본에서 낮은 수익률이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4일 엔달러 환율은 달러 당 140엔 수준이다. 지난달 26일 반년만에 달러 당 140엔 선을 돌파한 이후 달러 당 130엔 후반에서 140엔 초반대 사이를 오가고 있다.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한 반면 미국 중앙은행(Fed)은 금리를 15개월 연속 인상한 결과로 풀이된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