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삭스는 올해 연말의 금값 예상치를 온스당 3,100달러로 올렸다. 그러나 정책 불확실성이 계속 높아질 경우 일시적으로 3,3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동부표준시로 오전 7시 기준 금 현물은 전 거래일보다 0.8% 오른 2,92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골드만 삭스의 분석가들은 올해도 중앙은행의 구조적 수요와 금괴 ETF 수요에 힘입어 금이 연말에 트로이 온스당 3,100달러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 삭스의 분석가 리나 토마스 와 댄 스트루이벤은 중앙은행 수요가 이전 예상치보다 많은 월 평균 50톤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관세 등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투기 수요가 추가돼 온스당 3,300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연간 26% 상승을 의미한다. 금은 중앙은행의 매수 증가, 연준의 금리 인하, 최근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괴적인 관세 발표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특히 무역 긴장이 증가할 가능성에 따른 위험 헤지용 금 보유 수요를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인플레이션 우려와 재정 위험도 "중앙은행의 금 매입을 압박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두 번으로 예상되는 미연준의 금리 인하도 ETF 보유를 점진적으로 늘리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골드만 삭스는 지난 달에는 올해말 금 가격이 3,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앞서 씨티그룹은 2월초 트럼프가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전쟁을 부추겨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3개월 내에 금이 온스당 3,0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