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선 앞세우더니…단숨에 '1조 유니콘' 등극한 회사
화장품 업계에 대형사와 중소형사간 실적 명암이 극명하게 벌어지고 있다. ‘빅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사업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반면,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중소업체들이 약진하는 모양새다.

○변화 민감한 중소형사가 시장 주도

'김희선 미용기기'로 유명한 뷰티테크기업 에이피알은 15일 CJ온스타일로부터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에서 에이피알의 기업가치는 1조원으로 산정돼 사실상 ‘유니콘(기업 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 대열에 합류하게 됐다.

CJ온스타일은 에이피알의 성장성과 사업시너지에 주목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이피알의 핵심 사업은 화장품과 미용기기를 판매하는 ‘메디큐브’다. 에이프릴스킨·포맨트·글램디바이오 등 뷰티 브랜드와 ‘아이유 트레이닝복’으로 유명세를 탄 스트리트 캐주얼 브랜드 ‘널디’도 에이피알이 운영하는 브랜드다.

뷰티기기 등의 판매 호조 덕에 에이피알은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 3977억원, 영업이익 392억원으로 각각 전년비 53.5%, 174.8% 증가했다. 에이피알은 9~10월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 신청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다.

클리오, 에이블씨엔씨, 아이패밀리SC, 마녀공장 등 상장된 중소화장품사들의 실적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클리오는 지난해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을 나타냈다. 마녀공장도 사상 최대 실적을 앞세워 지난 8일 코스닥시장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이들 중소형 화장품 업체들은 모두 중국 위험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 미국 등 다른 국가로 일찌감치 수출을 다변화하면서 엔데믹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었다. 유행에 민감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취향에 맞춰 빠르게 제품을 내놓고 있는 것도 중소형사 약진의 배경으로 꼽힌다.

○중국에 발목 잡힌 ‘빅2’ 부진

반면 국내 대표 화장품업체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중국 발(發)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최근 수 년간 이 두 업체의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안팎에 이른다. ‘궈차오(애국소비)’ 열풍과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맞물리며 올 초까지 중국 사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최근 다시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때문에 중국의 상반기 최대 대목 중 하나인 ‘618 쇼핑축제’에서도 힘을 쓰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4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9.3% 감소했다. LG생활건강의 1분기 영업이익은 1459억원으로 16.9% 줄었다.

특히 LG생활건강은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받으며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전날 희망퇴직 신청을 마감했으며 신청자는 심사를 거쳐 이달 말일자로 퇴사하게 된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형사가 중국 사업에 집중하는 동안 중소형사는 빠르게 수출국을 다변화해왔다”며 “화장품 업계의 주도권이 중소형 화장품사로 넘어가면서 이들 기업의 가치도 재평가가 진행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수정/양지윤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