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기 살아나나…"상고하저 여전히 유효"
정부는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5개월 연속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다만 하방 위험은 다소 완화됐다고 봤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수출·제조업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그린북에서 처음 한국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판단한 이후 다섯 달째 같은 진단이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5.2% 감소했다. 작년 10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반도체와 선박, 컴퓨터, 석유제품 등 대부분 품목의 수출은 감소했다.

수출이 줄면서 5월 21억2천만달러의 무역 적자가 발생했다.

다만 적자 폭은 지난 1월 125억3천만달러를 기록한 뒤 2월(53억2천만달러), 3월(47억4천만달러), 4월(27억3천만달러)에 걸쳐 지속해서 줄고 있다.

4월 경상수지 또한 7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상품수지는 무역적자 축소로 7개월 만에 흑자(5억8천만달러) 전환했다. 서비스 수지도 적자 폭이 축소됐다.

정부 역시 이러한 추세를 고려해 지난달 경제 동향에 담겼던 '수출 부진' 표현을 이번 달에는 제외했다.

정부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제 심리도 개선됐다고 진단했다

4월 소매 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모두 감소해 전월보다 2.3%, 전년 동월보다 1.1% 줄었다.

다만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전월보다 2.9포인트(p) 상승한 98.0을 기록했다. 1분기 민간소비(GDP 잠정치)도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5월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35만1천명 늘며 증가세가 이어졌다.

실업률은 2.7%로 작년보다 0.3%p 하락했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를 기록했다. 지난 1월 5.2%의 상승률을 기록한 후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고, 가공식품과 외식 등 개인 서비스 오름세도 완화하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 하락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승한 과장은 "특별한 외부 요인이 없는 이상 물가는 전반적인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조만간 2%대로 상승률이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이처럼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고, 고용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경제 하방 위험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판단했다.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영향 및 글로벌 정보통신(IT) 업황 개선으로 수출이 회복되면서 하반기 경기가 살아나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유지했다.

이승한 과장은 "3분기부터는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 단가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확고한 물가·민생 안정과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하반기 수출·투자 내수 활력 제고와 경제체질의 구조적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