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30년 전기차 200만대 판매…"혁신 DNA로 전동화 선도"(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베스터데이서 '현대 모터웨이' 전략 발표…글로벌 전기차 판매비중 34%로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생산역량 강화·배터리 역량 강화가 핵심
2025년부터 2세대 플랫폼 적용 전기차 출시…10년간 배터리 부문 9.5조 투입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업체로서 축적해 온 역량과 브랜드 유산을 활용해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며 2030년 전기차 200만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전통적 자동차 업체와 신생 전기차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내연기관 차종부터 쌓아온 기술력과 강점을 최대한 살려 신속한 전동화 전환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전기차 판매 목표를 올해 33만대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에는 200만대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 때 밝힌 목표치보다 2026년은 10만대, 2030년은 13만대 상향 조정한 것이다.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에는 34%로 성장하게 된다.
2030년 주요 지역(미국·유럽·한국) 전기차 판매 비중은 53%에 육박할 전망이다.
미국에서 66만대(53%), 유럽 51만대(71%), 한국 24만대(37%) 달성이 목표다.
현대차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현대 모터 웨이'를 이날 공개했다.
현대 모터 웨이는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화 ▲ 국내외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 ▲ 배터리 관련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 등 3개 전략으로 이뤄졌다.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2세대 플랫폼으로 '전기차 200만대' 시대 연다
앞서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선보인 현대차는 2025년 IMA와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도에 나선다는 계획을 내놨다.
IMA가 도입되면 차급에 상관없이 86개 공용 모듈 시스템 조합을 통해 차종을 개발할 수 있어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커진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지금의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에서는 같은 플랫폼을 쓰는 차종끼리만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다.
예컨대 E-GMP 기반인 아이오닉5와 내연기관 플랫폼을 쓰는 코나 일렉트릭은 모듈 호환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IMA 도입 후에는 모터와 배터리는 물론 인버터, 자율주행 등 핵심 전략 모듈 13개를 공유할 수 있다.
IMA 개발 체계의 핵심 요소는 E-GMP를 잇는 전용 전기차 플랫폼이다.
E-GMP는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급 중심이지만, 2세대 플랫폼은 소형부터 초대형 SUV, 픽업트럭, 제네시스 상위 차종까지 거의 모든 차급을 아우를 만큼 범용성이 높다는 게 현대차 설명이다.
현대차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현대차 4종, 제네시스 5종의 승용 전기차를 2세대 플랫폼으로 개발해 출시할 예정이다.
기아도 4개 차종에 2세대 플랫폼을 적용한다.
2세대 플랫폼은 5세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 고효율·고출력 모터 시스템 등을 탑재할 예정이며, 향후에는 경제성과 안전성 등이 장점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적용도 추진된다.
전기차 주행거리 확대를 위해 세계 최초로 보조배터리를 활용한 주행 중 충·방전 기술을 적용하는 등 기반 기술 확보에도 주력한다.
향상된 배터리에는 인공지능(AI)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원격진단 기능을 추가하고 화재 안전을 위해 급속한 열확산 차단 기술도 적용한다.
전기차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자 생산 역량 강화에도 주력한다.
현대차는 기존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전기차 생산까지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추진 중이다.
신규 공장 건설보다 시간·비용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울산공장과 아산공장에 전기차 혼류 생산 라인을 갖춘 현대차는 미국, 체코, 인도공장 등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전기차를 생산 중이며, 수요 증가를 고려해 향후 추가로 라인을 전환할 계획이다.
전기차 수요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시장에는 별도의 전기차 전용 공장을 설립해 기존 내연기관 공장의 혼류 생산과 함께 '투트랙' 생산 전략을 추진한다.
2024년 하반기 양산 개시가 목표인 미국 조지아주의 첫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2025년 양산 예정인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공장에는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의 스마트 제조 신기술을 적극 도입한다.
전동화 전환 속도가 빠른 미국에서는 2030년 75%로, 유럽에서는 54%로, 한국에서는 36%로 각각 전기차 생산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 배터리 역량 강화…설계부터 관리까지 밸류체인 구축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관련 역량 강화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와 관리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분야 전반에 걸친 가치사슬도 구축한다.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9조5천억원을 투입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배터리 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한다.
배터리 전문 업체, 스타트업, 학계 등과의 외부 협업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원소재 확보를 위해 폐배터리를 회수해 원소재를 추출, 새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하는 체제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가 올해 선보일 예정인 하이브리드 신차 모델에는 자체 설계한 배터리가 탑재된다.
앞서 현대차는 2021년 SK온과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셀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소재 검증, 적용 비율을 포함한 사양 확정과 설계, 제품 평가, 성능 개선에 이르는 핵심 과정을 직접 담당했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수요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셀 개발도 추진한다.
배터리 업체와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가 2025년께 전기차에 최초 적용될 예정이며, 추후 탑재 모델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배터리 예열과 냉각 등 배터리 컨디셔닝 기술뿐 아니라 BMS 고도화로 긴 주행거리와 수명, 안전성까지 담보하고자 배터리 관리 역량 확보에도 집중한다.
리튬메탈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양산성을 검증하고자 의왕연구소에 내년까지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건설한다.
현대차가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는 로보틱스,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다른 모빌리티 영역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권역별 배터리 합작법인(JV) 확대도 추진한다.
2028년 이후에는 배터리 소요량 70% 이상을 JV를 통해 조달해 안정적인 배터리 수급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배터리 합작법인이 내년에 가동될 예정이며, 올해 설립을 발표한 미국 배터리 JV 2곳은 2025년 가동한다.
이들 3곳은 2025년 배터리 소요량의 20% 이상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유럽 내 합작법인 설립도 검토 중이며, 전기차 수요가 높은 지역을 고려해 신규 JV 설립과 기존 JV 증설 등도 고려한다.
현대차는 내달 공개 예정인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5 N에 현대 모터 웨이 전략이 집약돼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내연기관 N 모델에서 서스펜션, 차체 내구성, 제동 시스템 등 하드웨어 기술 향상을 이룬 현대차는 기존 전기차 모델을 통해 BMS, 배터리 열 관리, 고성능 주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을 향상시켰다.
지금까지 축적한 기술력을 아이오닉5 N에 집대성한 셈이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전동화와 미래 기술에 대해 어떤 글로벌 회사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앞으로 전동화 톱티어(top-tier)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며 "현대 모터 웨이는 현대차 임직원들이 정립한 혁신 DNA가 구체화한 모습으로, 새롭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생산역량 강화·배터리 역량 강화가 핵심
2025년부터 2세대 플랫폼 적용 전기차 출시…10년간 배터리 부문 9.5조 투입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업체로서 축적해 온 역량과 브랜드 유산을 활용해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내며 2030년 전기차 200만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전통적 자동차 업체와 신생 전기차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내연기관 차종부터 쌓아온 기술력과 강점을 최대한 살려 신속한 전동화 전환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전기차 판매 목표를 올해 33만대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에는 200만대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 때 밝힌 목표치보다 2026년은 10만대, 2030년은 13만대 상향 조정한 것이다.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에는 34%로 성장하게 된다.
2030년 주요 지역(미국·유럽·한국) 전기차 판매 비중은 53%에 육박할 전망이다.
미국에서 66만대(53%), 유럽 51만대(71%), 한국 24만대(37%) 달성이 목표다.
현대차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현대 모터 웨이'를 이날 공개했다.
현대 모터 웨이는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화 ▲ 국내외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 ▲ 배터리 관련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 등 3개 전략으로 이뤄졌다.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2세대 플랫폼으로 '전기차 200만대' 시대 연다
앞서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선보인 현대차는 2025년 IMA와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도에 나선다는 계획을 내놨다.
IMA가 도입되면 차급에 상관없이 86개 공용 모듈 시스템 조합을 통해 차종을 개발할 수 있어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커진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지금의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에서는 같은 플랫폼을 쓰는 차종끼리만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다.
예컨대 E-GMP 기반인 아이오닉5와 내연기관 플랫폼을 쓰는 코나 일렉트릭은 모듈 호환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IMA 도입 후에는 모터와 배터리는 물론 인버터, 자율주행 등 핵심 전략 모듈 13개를 공유할 수 있다.
IMA 개발 체계의 핵심 요소는 E-GMP를 잇는 전용 전기차 플랫폼이다.
E-GMP는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급 중심이지만, 2세대 플랫폼은 소형부터 초대형 SUV, 픽업트럭, 제네시스 상위 차종까지 거의 모든 차급을 아우를 만큼 범용성이 높다는 게 현대차 설명이다.
현대차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현대차 4종, 제네시스 5종의 승용 전기차를 2세대 플랫폼으로 개발해 출시할 예정이다.
기아도 4개 차종에 2세대 플랫폼을 적용한다.
2세대 플랫폼은 5세대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 고효율·고출력 모터 시스템 등을 탑재할 예정이며, 향후에는 경제성과 안전성 등이 장점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적용도 추진된다.
전기차 주행거리 확대를 위해 세계 최초로 보조배터리를 활용한 주행 중 충·방전 기술을 적용하는 등 기반 기술 확보에도 주력한다.
향상된 배터리에는 인공지능(AI)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원격진단 기능을 추가하고 화재 안전을 위해 급속한 열확산 차단 기술도 적용한다.
전기차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자 생산 역량 강화에도 주력한다.
현대차는 기존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전기차 생산까지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추진 중이다.
신규 공장 건설보다 시간·비용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울산공장과 아산공장에 전기차 혼류 생산 라인을 갖춘 현대차는 미국, 체코, 인도공장 등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전기차를 생산 중이며, 수요 증가를 고려해 향후 추가로 라인을 전환할 계획이다.
전기차 수요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시장에는 별도의 전기차 전용 공장을 설립해 기존 내연기관 공장의 혼류 생산과 함께 '투트랙' 생산 전략을 추진한다.
2024년 하반기 양산 개시가 목표인 미국 조지아주의 첫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2025년 양산 예정인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공장에는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의 스마트 제조 신기술을 적극 도입한다.
전동화 전환 속도가 빠른 미국에서는 2030년 75%로, 유럽에서는 54%로, 한국에서는 36%로 각각 전기차 생산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 배터리 역량 강화…설계부터 관리까지 밸류체인 구축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관련 역량 강화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와 관리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분야 전반에 걸친 가치사슬도 구축한다.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9조5천억원을 투입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배터리 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한다.
배터리 전문 업체, 스타트업, 학계 등과의 외부 협업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원소재 확보를 위해 폐배터리를 회수해 원소재를 추출, 새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하는 체제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가 올해 선보일 예정인 하이브리드 신차 모델에는 자체 설계한 배터리가 탑재된다.
앞서 현대차는 2021년 SK온과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셀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소재 검증, 적용 비율을 포함한 사양 확정과 설계, 제품 평가, 성능 개선에 이르는 핵심 과정을 직접 담당했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수요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셀 개발도 추진한다.
배터리 업체와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가 2025년께 전기차에 최초 적용될 예정이며, 추후 탑재 모델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배터리 예열과 냉각 등 배터리 컨디셔닝 기술뿐 아니라 BMS 고도화로 긴 주행거리와 수명, 안전성까지 담보하고자 배터리 관리 역량 확보에도 집중한다.
리튬메탈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양산성을 검증하고자 의왕연구소에 내년까지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건설한다.
현대차가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는 로보틱스,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다른 모빌리티 영역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권역별 배터리 합작법인(JV) 확대도 추진한다.
2028년 이후에는 배터리 소요량 70% 이상을 JV를 통해 조달해 안정적인 배터리 수급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배터리 합작법인이 내년에 가동될 예정이며, 올해 설립을 발표한 미국 배터리 JV 2곳은 2025년 가동한다.
이들 3곳은 2025년 배터리 소요량의 20% 이상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유럽 내 합작법인 설립도 검토 중이며, 전기차 수요가 높은 지역을 고려해 신규 JV 설립과 기존 JV 증설 등도 고려한다.
현대차는 내달 공개 예정인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5 N에 현대 모터 웨이 전략이 집약돼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내연기관 N 모델에서 서스펜션, 차체 내구성, 제동 시스템 등 하드웨어 기술 향상을 이룬 현대차는 기존 전기차 모델을 통해 BMS, 배터리 열 관리, 고성능 주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을 향상시켰다.
지금까지 축적한 기술력을 아이오닉5 N에 집대성한 셈이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전동화와 미래 기술에 대해 어떤 글로벌 회사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앞으로 전동화 톱티어(top-tier)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며 "현대 모터 웨이는 현대차 임직원들이 정립한 혁신 DNA가 구체화한 모습으로, 새롭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