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40대까지만 전력질주…나는 짧고 굵게 살기로 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성비 넘어 시(時)성비의 시대가 온다(3)
'60%로 60세까지' 보다 '100%로 40대까지' 추구하는 세대
'과잉 정보사회'에 인간이 진화한 결과물
코로나19로 가사노동 줄이는 수요 '폭발'
"젊은세대는 장기침체에 '불안·결핍'"
'60%로 60세까지' 보다 '100%로 40대까지' 추구하는 세대
'과잉 정보사회'에 인간이 진화한 결과물
코로나19로 가사노동 줄이는 수요 '폭발'
"젊은세대는 장기침체에 '불안·결핍'"
![딱 40대까지만 전력질주…나는 짧고 굵게 살기로 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67555.1.jpg)
왜 사람들은 시간 대비 성능을 따지기 시작한 걸까. 니혼게이자이신문의 대표 칼럼리스트 나카무라 나오후미는 디지털 기술이 인간을 편리하게 만든 동시에 정보의 양을 폭발적으로 늘려 바쁘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과잉 정보사회라는 지금까지 없던 지구 환경의 변화에 인간이 진화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딱 40대까지만 전력질주…나는 짧고 굵게 살기로 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67557.1.jpg)
날 잡아 '사랑의 불시착'과 'BTS' 전편, 전곡 감상했는데 자신의 취향과 맞지 않으면 시간 낭비일 수밖에 없다. 그 시간에 '오징어 게임'이나 '이태원 클래스' 등 다른 콘텐츠를 봤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을 수도 있다.
배속시청으로 대표되는 시성비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시간을 투자한 콘텐츠가 유익하지 않을 때의 낭비도 줄이는 절충안이다. '작품을 감상한다'는 행위에 '정보 수집을 위해 콘텐츠를 소비한다'는 스타일이 새로 추가된 것이다.
코로나19는 시성비 추구를 가속화했다. 오늘날 일본인 가계의 70%는 맞벌이를 한다.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가사노동에 쏟는 시간과 노력이 늘어났다. 그만큼 가사 시간을 줄이는데 대한 수요도 커질 수밖에 없다.
![딱 40대까지만 전력질주…나는 짧고 굵게 살기로 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67558.1.jpg)
이런 상황에서 젊은 세대가 시성비를 따지는 현상을 후지타 유이코 메이지대학 교수는 결핍과 불안이라는 단어로 풀이한다. 30년 장기침체와 2011년 동일본대지진 등으로 불안정한 저성장기를 보낸 일본의 젊은 세대들은 글로벌 경쟁에서 뒤진 일본의 미래를 불안해 한다는 것이다.
![딱 40대까지만 전력질주…나는 짧고 굵게 살기로 했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01.33767560.1.jpg)
"60%의 힘으로 60세까지 일하기 보다 100%로 전력을 다해 40대까지 일하는 쪽을 선택하는 세대",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내는 스킬을 중시하기 때문에 '멀티'에 대한 수요가 높은 세대"라는 설명이다. 이처럼 시간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 트렌드가 바뀌면 기업의 전략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