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기차 목표치 상향…시장 선점 키는 투자확대·원가절감"-신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목표가 25만 유지
신한투자증권은 21일 현대차가 전날 개최한 '2023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 관련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동력은 투자 확대, 상품성 확보, 원가 절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대차는 전기차 투자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고, 2차전지 내재화 등을 통해 원가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목표주가 25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지난 20일 현대차는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를 200만대로 7% 상향한다고 밝혔다. 목표 달성 시 글로벌 전기차 판매 비중은 2030년 34%까지 확대된다. 눈높이 상승은 대부분 미국향 전기차 판매량 증가를 반영했다. 2030년 미국향 전기차 판매량 목표만 보면 66만대로 미국 전체 판매량의 53%가 전기차로 바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도 중순부터 미국 신설 전기차 전용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가동하면서 전기차 판매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연구원은 "목표를 넘어 전기차 시장을 진짜 선점하기 위한 핵심 동력은 투자 확대, 전기차 상품성 확보, 원가 절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대차의 투자 계획은 전동화 강화 드라이브가 선명하다"며 "향후 10년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계획에서 전동화 관련 투자가 35조8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투자 계획은 9년간 95조5000억원을 투자해 전동화에 19조4000억원을 배분한 점과 비교하면 변화폭이 대단히 크다"고 평가했다.
정 연구원은 "2차전지 합작법인(JV) 설립, 원료·소재 소싱 강화 등의 계획이 반영되면서 전기차 공급망관리체계(SCM) 구축에 대한 내용이 정교해졌다"면서도 "더욱 중요한 것은 전기차 제품 자체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도입과 배터리 개발 역량 내재화를 통해 전기차 산업 내 경쟁력을 유지할 계획"이라며 "기존 세그먼트 기반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전기차용 플랫폼 구조에서 벗어나 차급 구분 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모듈러 아키텍처로 전환을 예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공한다면 원가 절감과 다양한 세그먼트 차종의 유연한 출시가 가능해진다"고 부연했다.
정 연구원은 "추가적으로 경쟁사 대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배터리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적재적소의 협력관계를 확보해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주도권을 쥐려는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며 "원소재부터 재활용까지 공급망 전반에 영향력을 확보하고, 저가형 제품(LFP) 적용으로 전기차 원가 절감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선순환 구조가 가능하다"며 "단기 실적의 변동성보다 전기차 계획의 달성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지난 20일 현대차는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2030년 전기차 판매 목표를 200만대로 7% 상향한다고 밝혔다. 목표 달성 시 글로벌 전기차 판매 비중은 2030년 34%까지 확대된다. 눈높이 상승은 대부분 미국향 전기차 판매량 증가를 반영했다. 2030년 미국향 전기차 판매량 목표만 보면 66만대로 미국 전체 판매량의 53%가 전기차로 바뀔 것을 가정한 것이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도 중순부터 미국 신설 전기차 전용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가동하면서 전기차 판매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연구원은 "목표를 넘어 전기차 시장을 진짜 선점하기 위한 핵심 동력은 투자 확대, 전기차 상품성 확보, 원가 절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대차의 투자 계획은 전동화 강화 드라이브가 선명하다"며 "향후 10년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계획에서 전동화 관련 투자가 35조8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투자 계획은 9년간 95조5000억원을 투자해 전동화에 19조4000억원을 배분한 점과 비교하면 변화폭이 대단히 크다"고 평가했다.
정 연구원은 "2차전지 합작법인(JV) 설립, 원료·소재 소싱 강화 등의 계획이 반영되면서 전기차 공급망관리체계(SCM) 구축에 대한 내용이 정교해졌다"면서도 "더욱 중요한 것은 전기차 제품 자체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도입과 배터리 개발 역량 내재화를 통해 전기차 산업 내 경쟁력을 유지할 계획"이라며 "기존 세그먼트 기반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전기차용 플랫폼 구조에서 벗어나 차급 구분 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모듈러 아키텍처로 전환을 예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성공한다면 원가 절감과 다양한 세그먼트 차종의 유연한 출시가 가능해진다"고 부연했다.
정 연구원은 "추가적으로 경쟁사 대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배터리 내부 역량을 강화하고, 적재적소의 협력관계를 확보해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주도권을 쥐려는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며 "원소재부터 재활용까지 공급망 전반에 영향력을 확보하고, 저가형 제품(LFP) 적용으로 전기차 원가 절감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선순환 구조가 가능하다"며 "단기 실적의 변동성보다 전기차 계획의 달성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