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이 지배하는 세상…나무는 인간의 울음을 들을 수 있을까
새벽 걷기는 나의 오랜 루틴이다. 특히 요즘은 시원한 아침 바람이 아까울 지경이다. 지금의 초록은 서서히 붉은색에 가까워지고, 한낮의 무더위는 걷는 것에도 적지 않은 용기를 요구하게 될 게다. 아침잠의 유혹을 뒤로하고 하루를 서두르는 이유다. 어느 곳에서나 풀과 나무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각자의 속도로 짙어지는 초록이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보면서 초록이 이렇게까지 다채로웠나 새삼 그 싱그러움에 놀라곤 한다. 온통 초록인 세상을 보면서 어쩌면 세상을 지배하는 존재는 인간이 아니라 식물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김초엽 작가의 소설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나면 이런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든다. 이 소설은 노출만으로도 죽음에 이르는 먼지 더스트로 한 차례 멸망한 후의 인류의 이야기다. 2129년 더스트생태연구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식물생태학자 아영은 느리지만 멀리까지 뻗어나가는 식물들의 생명력에 매료된다. 그러던 어느 날 폐허 도시 해월에서 덩굴식물 모스바나가 수상할 정도로 빠르게 증식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알 수 없는 푸른빛까지 목격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린 시절 이웃에 살던 노인의 정원에서 본 풍경을 떠올리고 그 정체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된다. 주인공은 모스바나를 채집해 분석하면서 이 식물들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을 수소문하게 되고 더스트시대에 모스바나를 약초로 활용하면서 사람들에게 ‘랑가노의 마녀들’이라고 불려온 아마라, 나오미 자매의 존재를 알게 된다.

더스트로 멸망해 버린 세계. 그 속에서 식물의 보호를 받으며 질긴 생명력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구할 수 있는 것은 과학도 기술도 인간도 아니라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SF소설을 표방하고 있지만 팬데믹을 경험한 우리에게 곧 닥칠지 모르는 가까운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지구 끝의 온실>만큼이나 기발한 식물판타지가 있으니 천선란 작가의 <나인>. 손톱 끝에서 식물이 자라고 식물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소녀의 이야기다. 작가는 “8년 전 한적한 공원 벤치에 앉아 목 놓아 울다 문득 나무와 들풀이 듣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이 나무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울음을 들었을까 고민도 했다”는 말로 작품의 시작을 이야기한다.

손톱 끝에서 식물이 자라고 식물들과 이야기를 할 수 있다니. 하지만 이 이야기의 매력은 신기한 상상력에 머물러 있지 않다. 나인은 식물과 교감하는 능력을 통해 홀연히 자취를 감춘 ‘박원우 실종 사건’의 전말을 알게 되고, 이 사건의 진실을 알리기로 마음먹는다. 그러나 식물들의 이야기만으로 이를 증명해낼 수 있을까? 여기에도 변함없이 주인공을 믿고 지지해주는 친구들이 등장하고 모두는 각자의 방식으로 실종된 박원우를 찾게 된다.

초록이 지배하는 세상…나무는 인간의 울음을 들을 수 있을까
<나인>을 읽고 나서 지난해 제주 한달살이를 하면서 찾았던 비 오는 ‘머체왓숲’이 떠올랐다. 물안개와 운무에 휩싸인 숲에서 만난 오래된 나무들은 조금은 섬뜩하고 신비롭고 영험하게 느껴졌다. 이 숲을 찾아왔던 많은 사람의 이야기를 오롯이 담고 있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소설에 진심인 직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