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던 경북 포항을 비롯해 상습 수해지역인 서울 강남, 신림동 등지의 침수 대책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제철소 출입문 앞에는 공장 주변 1.9㎞를 요새처럼 에워싸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차수벽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포항=장강호 기자
태풍 ‘힌남노’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던 경북 포항을 비롯해 상습 수해지역인 서울 강남, 신림동 등지의 침수 대책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제철소 출입문 앞에는 공장 주변 1.9㎞를 요새처럼 에워싸는 2m 높이의 콘크리트 차수벽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포항=장강호 기자
23일 경북 포항시 냉천 상류의 오어저수지. 작년 9월 태풍 ‘힌남노’가 강타할 당시 빗물을 급격히 방류해 침수사태를 야기했던 노후 저수지엔 아직도 태풍의 상흔이 남아 있었다. 둑 주변에 임시로 쌓아 올린 모래주머니는 유실됐고 산사태로 쓰러진 나무들이 곳곳에 널브러져 있었다. 태풍이 쓸고 간 지 1년이 지났는데 저수지 보강 공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저수지 관리를 담당하는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둑을 높이는 등의 방안을 고려했지만 인근 사찰의 수몰 가능성 등으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며 “현재로선 큰 비가 오지 않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이날 찾은 오어저수지 하류의 포스코 포항제철소 출입구는 차수벽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었다. 1.9㎞ 길이의 차수벽이 요새처럼 공장을 감싸고 있었다. 포스코 관계자는 “작년보다 더 센 태풍이 와도 문제 없다”고 자신했다.

○힌남노 피해에도 수해대책은 그대로

태풍 ‘힌남노’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던 경북 포항을 비롯해 상습 수해지역인 서울 강남, 신림동 등지의 침수 대책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포항시 냉천 하류의 무너진 둑을 대신한 모래주머니들이 터진 채 쌓여 있다. 포항=장강호 기자
태풍 ‘힌남노’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던 경북 포항을 비롯해 상습 수해지역인 서울 강남, 신림동 등지의 침수 대책이 크게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포항시 냉천 하류의 무너진 둑을 대신한 모래주머니들이 터진 채 쌓여 있다. 포항=장강호 기자
올해도 강력한 태풍과 폭우가 예고된 가운데 지난해 대규모 침수 피해를 본 주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취재팀이 포항과 서울 강남, 관악, 동작 등을 둘러본 결과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인력 등의 부족을 이유로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수해 방지 대책이 가장 부족한 지역은 포항이었다. 이곳은 작년 힌남노로 냉천이 범람하면서 아파트 주민 아홉 명이 지하 주차장에서 목숨을 잃었고, 공장·시장이 침수되는 등 큰 피해를 봤다. 이날 방문한 냉천은 임시 방편으로 쌓아둔 모래주머니가 유일한 대책이었다. 이마저도 60여 개는 유실됐거나 주머니가 터진 상태였다. 둑이 무너지면서 뼈만 앙상하게 남은 나무들도 그대로 방치돼 있었다. 시장 상인 김모씨는 “보수 공사도 제대로 안 됐는데 침수 예방은 꿈도 꿀 수 없다”며 “작년보다 올해 더 침수에 취약할 것이란 얘기가 상인 사이에서 돈다”고 했다.

침수 피해를 키운 냉천교와 인덕교 재가설 공사는 시작조차 못했다. 두 다리는 높이가 낮아 나뭇가지 등 부유물이 하천 물길을 막아 피해를 키웠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해당 공사는 장마가 끝나는 다음달 말부터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침수 대책이 늦어지면서 주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인근 아파트 노인회장인 손모씨는 “장마철에 친척집에서 지내기로 했다”며 “주민 불안은 커지는데 지난 1년 동안 뭘 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냉천 인근 J마트 대표는 “아파트에 차수벽을 설치한 것 외에 상가나 주택엔 어떤 지원책도 없었다”며 “차수벽 설치 같은 미시적인 대책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여러 갈래로 뻗어나간 포항의 지류 하천 공사는 시작도 못하고 있다. 세계리 오천시장 인근 세계천이 대표적이다. 이곳 역시 작년 태풍 당시 범람해 시장 전체가 물에 잠겨 상가당 수백만원대 피해를 줬다. 시 관계자는 “포항엔 소하천만 200여 개가 있고 하천당 공사 비용은 30억여원이 넘는다”며 “소하천 모두를 공사할 수 없어 원상 복구 작업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장 주변에 차수막 요새 쌓은 포스코

힌남노로 약 2조원의 피해를 봤던 포스코의 대응은 시의 늦장 행정과 대비된다. 범람 당시 차수벽이 없어 공장이 침수됐던 포스코는 1.9㎞에 걸쳐 대형 차수벽을 설치했다. 폭우로 냉천이 범람하면 높이 2m, 두께 30㎝ 차수벽이 나와 빗물이 포스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포스코의 한 직원은 “차수벽 설치는 지난달 완료해 당장 폭우가 쏟아져도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다”며 “전기 배선과 도로 정비 등 부수적 공사만 남겨둔 상태”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9월 침수 직후 차수 방안을 검토하고 12월 착공에 들어갔다. 투입 인원만 1만2000명에 달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경영진의 빠른 의사결정과 협업으로 장마 전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포항=장강호/안정훈/김우섭 기자 call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