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는 36%, 부정 평가는 57%로 각각 나타났다.

긍정 평가는 직전인 6월 3주 차(지난 13~15일) 조사보다 1%포인트 올랐고, 부정 평가는 같았다. 긍정 평가 이유는 '외교'(31%), '국방/안보'(6%), '공정/정의/원칙'(5%), '교육 정책', '노조 대응'(이상 4%) 등으로 꼽혔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22%),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9%), '경제/민생/물가'(8%), '독단적/일방적'(6%) 등이 지적됐다.
출처=한국갤럽
출처=한국갤럽
한국갤럽은 긍·부정 평가 이유 양쪽 모두 '교육 정책'이 언급된 것을 두고 "최근 촉발된 '수능 킬러 문항' 논란에 대한 상반된 시각이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대통령 긍·부정 평가자 각각의 관심사와 그 경중만 바뀌고 있을 뿐, 대통령에 대한 전반적 태도 변화를 이끌 만큼 영향력 있는 사안은 부재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5%, 더불어민주당 31%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보다 국민의힘은 1%포인트 올랐고, 민주당은 3%포인트 내렸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29%, 정의당은 4%였다. 이와 관련해 한국갤럽은 "국민의힘 전당대회 이후 양대 정당 비등한 구도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주간 단위로 보면 진폭이 커 보일 수도 있으나, 양당 격차나 추세는 통계적으로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오차범위 내 움직임"이라고 전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우리 주변국(미·중·일·러) 중에서 어느 나라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보는지를 물은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70%가 미국, 20%는 중국을 선택했다. 이어 일본 3%, 러시아는 1%였다. 그 외 나라(자유 응답, 대부분 '북한')를 꼽은 응답은 1%였고, 5%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에 한국갤럽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다섯 차례 조사에서는 미국 50%대, 중국 30%대였으나 2019년부터 미국 쪽으로 쏠림이 강해졌다"고 했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무선(95%)·유선(5%)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