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적지 개발 청사진 공개…'뉴 K-2 글로벌 신성장 도시' 비전으로 제시
대구시 "K-2 후적지를 두바이·싱가포르 뛰어넘는 미래도시로"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후 남게 되는 K-2공항 후적지를 24시간 잠들지 않고 두바이, 싱가포르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실현할 미래 경제 중심도시로 건설하는 청사진이 제시됐다.

대구시는 27일 K-2 공항 후적지를 대구 미래 50년을 선도할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첨단산업, 관광, 상업, 금융 중심도시로 만들기 위한 'K-2공항 후적지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시는 K-2 후적지를 기존 신도시 조성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신개념 글로벌 미래 신성장도시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금호강과 연결된 물의 도시에 세계적인 랜드마크를 조성하는 등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해 글로벌 관광 및 상업 도시로 만들고 UAM(도심항공교통), 로봇,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을 적용, 친환경도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UAM으로 후적지와 대구경북신공항간을 20분대로 연결하고 혁신적인 규제 완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창의인재를 유치할 방침이다.

여기에 더해 반도체·로봇·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첨단산업을 유치해 두바이·싱가포르를 뛰어넘는 미래 경제 중심도시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대구시 "K-2 후적지를 두바이·싱가포르 뛰어넘는 미래도시로"
이날 발표된 비전과 전략은 전문가 자문과 시민참여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최근 홍준표 대구시장이 최근 두바이, 싱가포르 등을 현지 시찰한 결과 등을 바탕으로 했다.

지난해 3월 시민공청회를 통해 발표한 '글로벌 스마트문화수변도시' 계획에 민선8기 시정과제로 제시된 '24시간 잠들지 않는 두바이 방식 개발'을 적용한 것이다.

대구시 "K-2 후적지를 두바이·싱가포르 뛰어넘는 미래도시로"
시는 이를 위해 K-2 후적지에 주거기능을 대폭 줄이고 상업과 첨단산업 기능을 강화하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했다.

또 세계 최고 ICT(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첨단산업 기반의 생산도시를 지향하고 이들을 뛰어넘는 글로벌 미래도시를 목표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개념에서 '뉴 K-2 글로벌 신성장 도시'라는 비전도 제시했다.

시는 이날 발표회에서 이 같은 도시상을 실현하기 위해 공간혁신(문화수변도시, 24시간 도시), 서비스혁신(신교통혁명도시, 로봇 기반 스마트 도시), 산업혁신(수요창출 도시, 관광·상업·레저·MICE도시, 디지털 신산업 도시), 환경혁신(탄소중립 도시, 자연친화 도시) 등 4대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4대 혁신 전략을 공간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698만㎡ 규모의 후적지를 6개의 밸리로 나누고, 각 밸리당 1개의 클러스터를 특화하는 '6밸리 6클러스터 도시특화계획' 추진 계획도 제시했다.

대구시 "K-2 후적지를 두바이·싱가포르 뛰어넘는 미래도시로"
6밸리 6클러스터는 글로벌 관광밸리+그랜드 쇼핑 클러스터, 메디컬 헬스케어 밸리+AI 시니어타운 클러스터, 미래산업 밸리+로봇 클러스터, 소호+베니스 문화밸리+메타버스 클러스터, 디지털전환 밸리+인큐베이팅 클러스터, 글로벌 창의인재 밸리+글로벌 에듀 클러스터 등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K-2후적지는 두바이와 싱가포르를 넘어 상상력을 실현하는 미래생산도시가 될 것"이라면서 "UAM, 반도체, 로봇 등 첨단산업을 유치해 대구 미래 50년을 선도하고 세계인이 모여드는 글로벌 첨단산업·관광·상업도시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