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세 돼서야 해방…여성 가사노동 가치 1년에 '356조'
여성의 무급 가사노동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356조원(2019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남성이 투입한 가사노동 규모(약 135조원) 보다 2.6배 많다.

통계청은 27일 이런 내용의 '무급 가사노동 평가액의 세대 간 배분 심층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전체 가사노동 가치는 1인당 가사노동 시간에 인구와 직종별 대체임금을 곱한 값이다. 국민계정(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노동의 평가액을 성별과 연령별로 나눠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계청은 가사노동 소비에서 생산을 뺀 차이를 '생애주기적자'로 정의했다. 집안일을 하는 것이 생산, 이런 집안일의 혜택을 받는 것이 소비다. 예컨대 가사노동에 참여하지 않는 유년층(0~14세)의 생산은 '0'이다.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기 때문에 2019년 이들의 가사노동 소비는 131조6000억원을 기록, 같은 금액만큼의 적자가 났다.

성별로 따져보면 여성의 가사노동 생산액은 356조410억원으로 집계됐다. 남성의 가사노동 생산액(134조8770억원) 보다 2.63배 많다.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 소비액은 각각 264조4230억원, 226조4950억원으로 엇비슷했다. 여성은 가사노동 소비 보다 생산이 많아 91조6000억원의 흑자를, 반대로 나타난 남성은 91조6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인구규모 영향이 배제된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0세에서 3638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26세에 흑자로 전환했다. 흑자 규모는 38세에서 정점(1026만원)을 찍었다. 자녀 양육 등의 영향으로 가사노동이 늘어난 영향이다.

남성은 31세에 흑자로 진입한 후 47세에 적자로 전환했다. 여성은 25세에 흑자로 진입해 84세에 적자 전환했다. 여성이 남성 보다 이른 시기에 집안일을 시작해 80대 노년이 돼서야 가사노동으로부터 해방된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이번 통계 분석은 정부의 재정지출 및 육아 지원 등 저출산·고령화 대비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