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물류 띄우는 경북…'경량소재' 집중육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30년 TK신공항 개항 앞두고
항공화물 물류 비중 확대 나서
탄소섬유·알루미늄 등 투자 유치
신선식품 새 수출전략 산업으로
항공화물 물류 비중 확대 나서
탄소섬유·알루미늄 등 투자 유치
신선식품 새 수출전략 산업으로

27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도는 대구경북신공항이 개항하는 2030년 항공 화물 물동량을 대구·경북과 인근 배후지역을 포함해 국가 전체 화물 항공 물동량의 12~16%까지 늘리는 걸 목표로 잡았다. 2021년 기준 대구·경북의 항공화물은 수출 기준 전국의 8.7%다.
ADVERTISEMENT
경상북도는 배터리와 방산 등의 신산업 중심 도시로 전환하기 위해 기업 투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도내 배터리 생산공장은 10개로 전국 시·도 단위에서 가장 많다. 관련 기업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1년 동안 경북에 투자한 기업은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 등 2차전지 4조7279억원 △LG이노텍과 SK실트론, 아바텍 등 반도체 분야 2조9902억원 △방산 등 기계 금속 7337억원 △자동차 부품 4295억원 등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난 17일 일본 도레이 본사를 방문해 탄소섬유 등의 분야에서 1조원대 투자를 추진 중이다. 지난 1년 동안 유치한 투자만 11조4000억원이다.
도는 폐스크랩부터 소재, 완제품까지 생산할 수 있는 알루미늄 소재 클러스터도 조성하기로 했다. 황 실장은 “2차전지 업종이 밀집한 포항과 구미, 영천 등에 알루미늄 특화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