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호응한다면 북핵, 인권, 경제협력 문제를 묶어 논의하는 ‘한반도형 헬싱키 협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헬싱키 프로세스는 1975년 미국, 소련, 유럽 각국 등 35개국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상호 주권 존중, 전쟁 방지, 인권 보호를 골자로 체결한 협약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있는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가 글로벌 중추 국가를 지향하고 있어 인권 문제는 북한 인권뿐 아니라 보편적인 관점에서 접근해 나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남북이 북핵을 비롯해 인권, 경제협력 문제를 ‘삼위일체’로 함께 묶어서 논의하자는 의미다.

김 후보자는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단한 관심을 가져왔는데 한국 정부가 약간 소극적이었다고 생각한다”며 “통일 당사자이자 주체인 우리가 북한 주민들의 어려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향후 통일부 역할과 관련해 그는 “통일부가 앞으로는 원칙이 있는, 대단히 가치 지향적인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변화를 예고했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미국 국빈방문 연설 때 강조한 대로 ‘자유와 평화가 번영을 가져온다’는 측면에서 통일부가 대북관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 언론기고 등에서 ‘김정은 정권 타도’와 ‘흡수통일론’ 등을 주장했던 것과 관련해 김 후보자는 “(흡수통일론) 부분은 북한에 어떤 변화가 왔을 때를 말한 것”이라며 “강압적인 흡수통일이라는 것은 대한민국이 추진하지 않으며 평화통일을 지향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후보자에 대해 “극단적 남북 적대론자가 평화 통일 기반을 마련하고 남북 대화에 앞장서야 하는 자리에 적합한 인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