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모르는 대형 입시학원…작년 영업이익 1천억 넘는 곳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사교육비 26조원에 재수·n수생 학원비는 빠져
정부가 대형 입시학원을 향해 세무조사, 합동 현장 점검 등에 나선 가운데 지난해 경기 침체에도 대형 입시학원들은 눈에 띄는 호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영업 이익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곳이 있는가 하면 영업 이익이 1천억원을 돌파한 곳도 나타났다.
다만 이들 학원의 실적 가운데 작지 않은 비중은 학생·학부모 입장에서 사교육비임에도 정작 정부의 사교육비 통계에 잡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대치동 신흥 강자'로 떠오른 시대인재 학원을 운영하는 하이컨시의 연결 감사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하이컨시의 매출액은 2천747억8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4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9억9천만원으로 73.6% 늘었다.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9.8%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과 견주면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2020년 하이컨시의 매출액은 1천73억3천만원, 영업이익은 21억5천만원이었다.
매출액은 2년 사이 1.6배, 영업이익은 무려 11.5배로 불어난 셈이다.
수능 온오프라인 강의의 강자인 메가스터디의 성장 속도도 가팔랐다.
메가스터디의 온오프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가스터디교육의 지난해 매출은 1년 전보다 18.8% 증가한 8천359억5천만원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6.7% 뛰면서 1천353억9천만원으로 1천억원을 가볍게 돌파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14.1%에서 16.2%로 개선됐다.
교육계에서는 이들 학원뿐 아니라 대형 입시학원 상당수의 매출, 영업이익이 개선됐을 것이라고 본다.
대형 입시학원의 약진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얽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빚어진 등교 차질과 이에 따른 학력 결손을 보완하려는 수요와 수능 '킬러문항' 대비를 위한 수요 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다.
탄탄한 강사진, 질 좋은 모의고사 문제로 중무장한 대형 입시학원에 수험생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비중 확대, 의대 선호 현상이 맞물리면서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늘어난 점도 실적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재수·n 수생들은 상당수가 학원에 다니거나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면서 수능을 준비한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매년 초·중·고 사교육비를 조사해 발표하지만, 해당 통계 대상에는 고등학교 졸업생 이후, 즉 재수·n수생 사교육비가 빠져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인 26조원에 달했지만, 재수·n수생 사교육비를 더하면 훨씬 불어나리라고 보는 시각도 많다.
실제로 대형 입시학원에서 재수·n수를 준비할 경우 1년에 수천만 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지난달 26일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면서 "통계청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n수생 사교육 실태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전년 대비 영업 이익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곳이 있는가 하면 영업 이익이 1천억원을 돌파한 곳도 나타났다.
다만 이들 학원의 실적 가운데 작지 않은 비중은 학생·학부모 입장에서 사교육비임에도 정작 정부의 사교육비 통계에 잡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대치동 신흥 강자'로 떠오른 시대인재 학원을 운영하는 하이컨시의 연결 감사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하이컨시의 매출액은 2천747억8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4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9억9천만원으로 73.6% 늘었다.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9.8%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과 견주면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2020년 하이컨시의 매출액은 1천73억3천만원, 영업이익은 21억5천만원이었다.
매출액은 2년 사이 1.6배, 영업이익은 무려 11.5배로 불어난 셈이다.
수능 온오프라인 강의의 강자인 메가스터디의 성장 속도도 가팔랐다.
메가스터디의 온오프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가스터디교육의 지난해 매출은 1년 전보다 18.8% 증가한 8천359억5천만원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6.7% 뛰면서 1천353억9천만원으로 1천억원을 가볍게 돌파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14.1%에서 16.2%로 개선됐다.
교육계에서는 이들 학원뿐 아니라 대형 입시학원 상당수의 매출, 영업이익이 개선됐을 것이라고 본다.
대형 입시학원의 약진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얽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빚어진 등교 차질과 이에 따른 학력 결손을 보완하려는 수요와 수능 '킬러문항' 대비를 위한 수요 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다.
탄탄한 강사진, 질 좋은 모의고사 문제로 중무장한 대형 입시학원에 수험생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비중 확대, 의대 선호 현상이 맞물리면서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늘어난 점도 실적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재수·n 수생들은 상당수가 학원에 다니거나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면서 수능을 준비한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매년 초·중·고 사교육비를 조사해 발표하지만, 해당 통계 대상에는 고등학교 졸업생 이후, 즉 재수·n수생 사교육비가 빠져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인 26조원에 달했지만, 재수·n수생 사교육비를 더하면 훨씬 불어나리라고 보는 시각도 많다.
실제로 대형 입시학원에서 재수·n수를 준비할 경우 1년에 수천만 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지난달 26일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면서 "통계청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n수생 사교육 실태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