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관람 금지'였던 모네의 그림, 수련 연작은 왜 뭉클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rte] 전유신의 벨 에포크
클로드 모네
클로드 모네(1840-1926)는 인상주의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다.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컬렉션에 ‹수련이 있는 연못›(1917~1920)이 포함된 것을 계기로, 한국의 관객들에게 모네는 수련 연작의 작가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이 연작은 지베르니의 연못과 수련을 주제로 그린 250점의 회화를 총칭하는데, 모네는 50대 후반부터 작고하기 직전까지 30여 년에 걸쳐 이 작품들을 제작했다.모네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해인 1918년 프랑스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수련 연작을 국가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때 기증된 8점의 작품은 가로 폭이 6미터에서 최대 17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수련 연작들이었고, 그가 작고한 다음 해인 1927년부터 현재까지 파리의 오랑주리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이 시기에 모네는 유럽과 미국에서 작품의 판매가 급증하면서 프랑스에서 가장 부유한 화가로 불리기도 했다.
말년의 모네는 이처럼 사회적 영향력까지 지닌 성공한 작가였지만, 인상주의 미술이 시작된 초기의 상황은 무척 달랐다. 20대 초반의 모네는 아카데미 쉬스와 샤를 글레르의 스튜디오에 다니면서 장차 인상주의 미술 운동을 함께 이끌어갈 르누아르와 피사로 등을 만나 친분을 쌓게 된다. 1874년에는 이들과 함께 첫 번째 인상주의 미술전을 개최했다. 총 65점의 작품이 출품된 이 전시에서 유독 언론과 대중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았던 작품은 모네의 ‹인상, 해돋이>(1872)였다.
클로드 모네, <인상, 해돋이>, 1872, 파리 마르모탕 미술관 소장.
한 비평가는 이 작품을 두고 해돋이 풍경의 ‘인상’만 보인다고 평했는데, 한마디로 대충 그린 그림이라는 그의 혹평에서 ‘인상주의’라는 명칭이 등장했다. 모네의 작품을 포함해 성의 없이 그린 것처럼 보이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대중과 언론의 부정적인 평가도 이어졌다. 이들의 작품을 두고 논쟁을 벌이던 관람객들이 전시실 내에서 가벼운 몸싸움을 벌이는 일도 있었다. 신문에는 인상주의 미술이 태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면서 임산부의 전시 출입을 막는 조롱 섞인 만평이 게재될 정도였다.인상주의 미술이 등장했던 19세기 말의 관객들은 역사나 종교적인 내용을 주제로 다루면서 원근법에 기초한 밑그림과 명암법을 이용한 채색을 통해 인물과 풍경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그린 작품을 잘 그린 그림으로 인식했다. 이에 비해 인상주의 작가들의 작품은 주변의 풍경과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주제로 하다 보니, 역사화나 종교화와 비교해 내용이 없는 그림처럼 여겨졌다. 게다가 밑그림도 없이 캔버스 위에 바로 물감을 찍어 그리는 제작법으로 인해, 인상주의 미술은 입체감 없는 평면적인 화면과 거친 붓터치가 그대로 드러나는 완성도가 떨어지는 그림으로 받아들여졌다. 당대의 비평가와 관람객들이 인상주의 미술을 못마땅하게 여겼던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다.
첫 번째 인상주의 미술전은 작품 판매와 비평 어느 쪽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다음 해인 1875년에 열린 파리의 한 옥션에서는 모네의 작품이 예상치 못한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이변이 발생했다. 이 옥션에서 무명 작가나 다름없던 모네의 작품을 파격적인 가격에 구입한 컬렉터는 바로 모네의 형이었던 레옹 모네였다. 그는 동생인 모네의 작품 이외에도 르누아르와 시슬리, 피사로 등 인상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수집한 컬렉터였고, 색채 화학자이자 성공한 사업가기도 했다.
레옹은 천연 안료보다 선명한 색조를 띠는 인공 안료를 개발했는데, 19세기 말에는 80퍼센트에 달하는 인상주의자들이 그것을 사용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모네도 형의 공장이 있던 노르망디 지역의 루앙에 머물며 그의 조수로 일하기도 했는데, 이 시기에 색채 이론을 학습하면서 한편으로는 노르망디 해안가를 주제로 한 수많은 풍경화를 제작했다.
공장에서 사용하던 화학 물질의 독성 때문에 클로드의 아들과 레옹의 딸이 연이어 사망하게 되자 모네 형제는 이 일을 계기로 절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형인 레옹의 경제적 지원은 모네가 인상주의 그룹의 핵심적인 작가가 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고, 그의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선명한 색감이 레옹의 인공 안료를 사용한 결과임은 부인할 수 없다.
올해 3월부터 파리의 뤽상부르 미술관에서는 레옹 모네가 그의 동생인 클로드 모네와 인상주의 미술에 미친 영향을 처음으로 조명하는 전시인 <레옹 모네>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 전시는 위대한 미술가와 미술 운동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기도 한다. 레옹 모네와 같은 컬렉터의 경제적 후원과 화학 기술의 발전이 불러온 인공 안료의 발명이 예술가의 창조적 역량과 결합해 만들어진 것이 모네의 작품과 인상주의 미술이라 할 수 있다. 위대한 미술과 미술가는 이처럼 보다 폭넓은 사회적, 기술적 변화들과 맞물리며 만들어진다.
클로드 모네, <레옹 모네의 초상>, 1874, 개인 소장.
이런 저런 삶의 풍파를 겪은 50대의 모네는 파리 근교 지베르니에 집을 마련하고 정원과 연못을 직접 가꾸면서 이곳을 배경으로 수련 연작을 집중적으로 제작했다. 그는 지베르니에서 자신이 경험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감동을 색채를 통해서 전하고자 했다. 색채로만 뒤덮인 추상적인 회화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련 연작이 설명하기 어려운 뭉클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20세기 현대회화는 캔버스가 지닌 2차원의 평면성이 회화의 본질적 속성이라는 점과 선에 비해 부차적인 요소로 여겨졌던 색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색채와 평면성이 부각된 모네의 수련 연작이 현대회화, 특히 추상미술의 출발점으로까지 평가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클로드 모네, <수련, 석양>, 1914-1926, 파리 오랑주리 미술관 소장.
전유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사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