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지표 '뻥튀기' 가능성…"일자리 증가 과다 집계" 지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급여조사선 늘고 가계조사선 감소
경제 전환기 땐 정확도 확 떨어져
통계·현실 괴리…경기침체 우려
경제 전환기 땐 정확도 확 떨어져
통계·현실 괴리…경기침체 우려
미국 노동시장이 겉보기만큼 견조한 상태가 아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일부 경제학자가 미국의 일자리 지표가 과다 집계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일자리 증가세가 실제와 달리 부풀려졌으며,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가까운 상태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일자리는 올해 들어 160만 개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직전인 2019년 같은 기간의 두 배에 가까운 증가세다. 미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긴축(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 과열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게 만드는 대목이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려할 만한 신호도 포착된다. 5월 실업률은 전월 대비 0.3%포인트 오른 3.7%로 집계됐다. 3%대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게 경제학자들의 지적이다. 이는 또 팬데믹 초기를 제외하면 2010년 후 가장 큰 폭의 실업률 상승세다.
매달 발표되는 고용보고서도 지난달엔 통계와 현실의 괴리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 포착됐다. 통상 미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는 급여조사와 가계조사 두 가지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급여조사는 민간 기업과 정부기관 12만2000곳 이상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가계조사는 6만 가구를 샘플로 진행되는 설문조사다. 5월 고용보고서에서 양쪽의 설문 결과는 판이했다. 미국의 일자리가 33만9000개 증가했다는 급여조사 결과와 달리 가계조사에서는 일자리가 31만 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조사에선 실업자 수도 44만 명 급증한 610만 명으로 작년 2월 이후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통상 일자리 추정은 급여조사 방식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경제가 전환점에 놓였을 때는 부정확해진다”고 지적했다. 호황기에 스타트업이 창출한 일자리나 불황기에 폐업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적시에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기업이 납부하는 세금 데이터 등의 시차 때문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일부 경제학자가 미국의 일자리 지표가 과다 집계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일자리 증가세가 실제와 달리 부풀려졌으며,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가까운 상태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일자리는 올해 들어 160만 개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직전인 2019년 같은 기간의 두 배에 가까운 증가세다. 미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긴축(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 과열이 좀처럼 식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게 만드는 대목이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려할 만한 신호도 포착된다. 5월 실업률은 전월 대비 0.3%포인트 오른 3.7%로 집계됐다. 3%대 실업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게 경제학자들의 지적이다. 이는 또 팬데믹 초기를 제외하면 2010년 후 가장 큰 폭의 실업률 상승세다.
매달 발표되는 고용보고서도 지난달엔 통계와 현실의 괴리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 포착됐다. 통상 미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는 급여조사와 가계조사 두 가지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급여조사는 민간 기업과 정부기관 12만2000곳 이상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가계조사는 6만 가구를 샘플로 진행되는 설문조사다. 5월 고용보고서에서 양쪽의 설문 결과는 판이했다. 미국의 일자리가 33만9000개 증가했다는 급여조사 결과와 달리 가계조사에서는 일자리가 31만 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조사에선 실업자 수도 44만 명 급증한 610만 명으로 작년 2월 이후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통상 일자리 추정은 급여조사 방식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경제가 전환점에 놓였을 때는 부정확해진다”고 지적했다. 호황기에 스타트업이 창출한 일자리나 불황기에 폐업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적시에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기업이 납부하는 세금 데이터 등의 시차 때문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