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이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잡힌 우럭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해당 우럭이 한국 연안으로 건너올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 원장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후쿠시마 연안에 정착해 사는 우럭이 태평양과 대한해협의 거센 물결과 깊은 바다를 헤치고 우리 바다까지 1000㎞ 이상 유영해 온다는 것은 어류 생태학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럭이 바위가 많고 얕은 연안에 머무르는 ‘정착성 어류’라는 점에서 한국으로 건너올 가능성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이다.

우 원장은 먹이와 적정 수온을 찾아 이동하는 회유성 어류가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도 없다고 밝혔다. 정착성 어종에는 우럭 광어 쥐노래미 참돔 등이, 회유성 어종에는 고등어 갈치 참조기 멸치 등이 있다. 우 원장은 “회유성 어종도 우리 어선이 잡아서 국내에 공급하는 어종과 일본의 태평양산 어종은 산란장과 서식지가 분리돼 있어 우리나라에 유입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표적 회유성 어종인 일본 고등어는 태평양 연안에 산란장을 두고 서식한다”며 “우리나라와는 완전히 분리된 산란·서식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