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다양한 문제점을 고치려면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는 것을 넘어 수능을 절대평가화하고 입시제도 전반을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킬러문항 배제론 부족…수능 절대평가하고 교육목표 정비해야"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국회 교육위원회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등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수능 사태, 학생·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듣다'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인 정미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은 "(대학에서는) 공대생들에게 기하와 물리를 듣고 오라고 하는데 수능으로 공대에 진학하려면 기하와 물리를 배우지 않아도 된다"라며 현 수능 체제가 '아이들의 단계적인 배움'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부소장은 "수능을 영어영역처럼 9등급 절대평가로 바꾼다면 (수험생 입장에서는) 1등급을 받는 것이 수월해지고, 학교 교육을 신뢰할 기회가 생기고, 학생들이 학교에서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수능 평가체계를 바꾸는 것을 넘어 입시제도 전반을 손보고, 학교 교육과정을 제대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교육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근본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채송화 교사노동조합연맹 정책위원은 "킬러문항 배제가 본질적인 대책이 아니라는 것에 많은 사람이 동의할 것"이라며 "대학 서열화 해소와 노동환경 개선 등이 선행돼야 하는데 이런 문제는 이야기하지 않고 킬러문항만 이야기하는 것은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등학교에는 맞춤형 교육을 하라고 하면서 수능으로 한 줄을 세우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라며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붕괴시키는 대입전형을 개선하고, 정책의 현장 적합성을 위해 (개선 과정에서) 교사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대통령의 발언이 혼란을 야기한 것은 발언에 담긴 정책목표가 실현 가능한 것이냐 때문"이라며 "킬러문항 배제로 학교수업 정상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교육 경쟁력 제고와 사교육 경감 방안이 나온 것인데 이런 대책은 사교육 '대체제' 공급 정책일뿐"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2028 대입개편을 경쟁교육 고통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방안으로 보완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