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Today's PICK: "카카오, 가지 많은 나무의 괴로움"
※Today's Pick은 매일아침 여의도 애널리스트들이 발간한 종목분석 보고서 중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가 변경된 종목을 위주로 한국경제 기자들이 핵심 내용을 간추려 전달합니다
[마켓PRO] Today's PICK: "카카오, 가지 많은 나무의 괴로움"
👀주목할 만한 보고서
[마켓PRO] Today's PICK: "카카오, 가지 많은 나무의 괴로움"

카카오 "가지 많은 나무의 괴로움"

📉목표주가 : 8만원→7만원(하향) / 현재주가 : 5만9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한국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09조원(+14.9% YoY, +20.3% QoQ)과 1,023억원(-40.2% YoY, +43.8% QoQ)으로 컨센서스(매출액 2.05조원, 영업이 익 1,353억원)를 하회할 전망
-톡비즈 매출액은 5,222억원(+15.2% YoY, +1.3% QoQ)으로 1분기 대비 성장률은 회복되나 광고 경기가 온전히 회복되지 않아 다소 부진이 예상. 콘텐츠 매출액은 1.05조원(+17.4% YoY, +35.0% QoQ)로 추정
-에스엠이 연결 법인으로 편입되며 매출이 확대되나 스토리(웹 툰) 및 게임사업부 등은 이번 분기에도 시장 기대치에 소폭 못 미칠 전망. 전체 영업비용은 1.99조원(+20.6% YoY, +19.3% QoQ)으로 인건비 부담은 줄어드 나 에스엠 편입 및 마케팅비 증가 등으로 전분기대비 늘어날 것
-웹툰과 게임, 미디어 등 콘텐츠 사업부가 고성장기를 지나며 성장률이 하향 안정화되고 있으며 수익성 개선이 늦어지고 있는 점 등은 여전히 우려사항. 특히 이들 사업부의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높아 주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는 만큼 성장률 회복, 혹은 수익성 개선과 관련한 청사진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음

키움증권 "CFD 손실에도 무난한 실적"

📋목표주가 : 15만원→15만원(유지) / 현재주가 : 8만69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한국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2분기 지배순이익은 1,544억원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500억원대 CFD 관련 손실 반영에도 불구하고, 브로커리지 실적이 개선되고 운용손익이 우려 보다 양호하기 때문.
-부문별로 보면, 2분기 위탁매매 수수료는 1,728억원으로 전분기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분기 국내주식 시장 일평균 거래대금 이 21.2조원으로 동기간 20% 증가했고, 약정점유율도 22.7%로 0.3%p 개선.
-위탁매매 중 해외주식 수수료는 267억원으로 전분기대비 5% 감소했을 것. 다만 월중으로는 6월 당사 해외주식 약정대금이 11.4조원으로 전월대비 28% 반 등한 것으로 추정

고려아연 "한동안 실적 눈높이 낮춰야"

📉목표주가 : 78만원→63만원(하향) / 현재주가 : 46만30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하나투자증권


[체크 포인트]
-2023년 2분기 고려아연의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7조원(YoY -6.5%, QoQ +5.4%)과 1,432억원(YoY -62.5%, QoQ -1.8%)으로 영업이익은 시장컨센서스인 1,778억 원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
-1) 2023년 아연정광 벤치마크 제련수수료(T/C)가 지난해 톤당 230불에서 상승한 274불에 타결되면서 이 부분이 2분기부터 1분기 일부 물량까지 소급 적용되어서 반영되었고 2) 원/ 달러 환율이 상승(QoQ +3.0%)했고 3) 귀금속 판매가격 또한 전분기대비 소폭 상승(금 +6.5%, 은 +2.6%)했음에도 불구, 4) 아연가격 급락(-13.9%)이 본사 수익성에 부정적으로 작용. 5) 아연가격 급락은 호주 SMC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 실적에도 부정적으로 작용 한 것으로 판단

SK텔레콤 "실적도 좋고 환원도 좋고"

📋목표주가 : 7만7000원7만7000원(유지) / 현재주가 : 4만42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대신증권


[체크 포인트]
-매출액 4.4조원(+2% yoy, -0.3% qoq), OP 4.8천억원(+5% yoy, -3% qoq) 5G 보급률 64%까지 확대 추정. 5G 점유율은 48.2% 수준으로 22.10월부터 무선 전체 점유율을 상회한 이후로 점유율 지속 상승. 5G 순증 점유율이 50% 수준이어 서, 5G 점유율의 추가 상승 전망 --전반적인 마케팅 환경은 안정적. 4~5월 일시적인 알뜰폰 경쟁으로(알뜰폰에 대한 지원은 매출 차감으로 반영) 무선 매출 성장률은 소폭 둔화 추정. 22년 매분기 +2% yoy 수준의 성장, 1Q23 +1.5% yoy, 2Q23 +1.2% yoy 전망
-통신 신규사업자의 진입 문턱 완화, 알뜰폰 활성화, 5G 요금체계 추가 개선, 단말 기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 외에 대리점이 자체 재원으로 지급)의 상한선 확대

콘텐트리중앙 "방송도 극장도 좋아지는중"

📉목표주가 : 4만5000원→3만5000원(하향) / 현재주가 : 1만58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대신증권


[체크 포인트]
-매출액 2.1천억원(-23% yoy, +10% qoq), OP -118억원(적지 yoy/qoq) 전망 부문별 OP 추정. SLL 별도 10억원(-51% yoy, 흑전 qoq), 극장 -6억원(적전 yoy, 적지 qoq), 플레이타임 25억원(+127% yoy, 0% qoq), Wiip -100억원(적지 yoy/qoq), 제작 레이블 -47억원 전망
-[방송] 드라마 편성 회차 43회(-63회 yoy, -11회 qoq)로 감소했으나, 방영작이 모두 넷플릭스와 동시방영하면서 SLL 별도 수익성은 개선. 수목 12%, 토일 18.5%로 역대 비지상파 작품 중 6위 은 문화산업전문(유)의 투자 정산이 이루어지는 3Q23에 손익 인식. 이를 제외해도 SLL 별도는 흑자 달성.
-[극장] 2Q23 전국 관객수 3.3천만명(+0.3% yoy), 매출 3.3천억원(-1.4% yoy). 19 년 대비 관객수 61%, 매출 72% 수준. 2Q23 누적 기준 관객수 53%, 매출 65%. 성수기인 6월부터 관객수 증가하면서 빠르게 회복 중 메가박스 실적은 약 30억원 수준의 흑자 전망하나, 투자 손실이 2Q에 반영되면서 -6억원 적자 전망

클리오 "또 신기록"

📉목표주가 : 3만원→3만원(유지) / 현재주가 : 1만9700원
투자의견 : 매수(유지) / 메리츠증권


[체크 포인트]
-2Q23E 매출액 807억원 (+22%), 영업이익 60억원 (+34%, OPM 7%) 
-국내: 오프라인 (+21%, H&B +40%) 및 온라인 (+33%, 홈쇼핑 +140%) 모두 강세.  해외: 미국 (+103%) 아마존, 동남아 (+27%) 왓슨/라자드, 기타 (+50%) 러시아 추가 
-국내 MBS 집중 및 해외 저변 확장 (1Q23 골드애플, 2H23E 월마트/코스트코 등)  신제품 육성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 또한 지속, 우량한 성장주로써 도약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