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덕에 로봇이 똑똑해졌어요. 이제 복잡한 작업도 척척 수행합니다.”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초거대 AI와 로봇의 융합이 가져올 미래’를 주제로 지난 5일 열린 웨비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웨비나는 한경 AI경제연구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공학한림원이 공동 주관했다. 행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생성형 AI 기술의 보급이 로봇공학 발전에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김 교수는 생성형 AI 기술로 인해 로봇의 의사소통 방식이 바뀌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과거엔 코딩 작업을 통해 로봇에 행동을 지시해야 했지만, 이제는 일상 언어로 로봇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며 “로봇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초점이 이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게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극복해야 할 과제도 언급했다. 김 교수는 “지금의 AI 거대언어모델(LLM)은 인터넷상 정보를 통해 학습하지만, 로봇은 현실 환경에서 물리적으로 인간과 소통하는 존재”라며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대한 데이터 학습이 필요하지만 그런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영길 ETRI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기계공학이 한층 더 중요해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람과 교감하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AI 기술뿐 아니라 로봇이 사람의 시선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모터 구동 기술 등 기계공학 기술도 함께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도 “배터리 용량, 내구성 등을 개선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고 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