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우리나라 집중호우·태풍 강도 더 강해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탄소 배출 안 줄이면…연중 최다 일강수량 금세기말 36% 증가
중위도서 태풍 발생 늘어나고 우리나라 주변 지날 확률 높아져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집중호우 강도가 훨씬 강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가 속한 중위도에서 태풍이 늘어나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강도도 강해질 것으로도 예상됐다.
한국환경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 및 감축 중장기 연구방향' 보고서에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수량과 태풍 전망이 담겼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평가보고서의 바탕이 된 5개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 평균을 분석해 작성됐다.
9일 보고서를 보면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점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SSP5-8.5) 우리나라 연강수량은 근미래(2020~2049년)에 1천301.3㎜로 현재보다 1.1%, 중미래(2050~2079년)에 1천433.4㎜로 현재보다 11.4%, 먼미래(2080~2099년)에 1천544.2㎜로 현재보다 20.2% 증가하리라 예측됐다.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를 최소한 사용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경우'(SSP1-2.6)에도 연강수량은 증가했다.
다만 이 경우 근미래, 중미래, 먼미래 연강수량 예상치가 1천323.7㎜, 1천402.5㎜, 1천318.3㎜로 중미래 때 현재보다 9.1% 늘어났다가 먼미래에 현재보다 2.5% 많은 수준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탄소 저배출 시나리오를 달성하면 연강수량이 기후변화에 덜 영향받지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실패한 고배출 시나리오를 따르면 연강수량이 기후변화 영향으로 많이 증가한다"라고 설명했다.
기후변화는 집중호우 때 강수량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됐다.
1년 중 가장 비가 많이 내린 날 강수량(1일 최다강수량)의 연평균은 SSP5-8.5를 적용했을 때 근미래에 146.2㎜(현재 대비 증가율 8.5%), 중미래에 165.9㎜(23.2%), 먼미래에 182.9㎜(36.1%)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SSP1-2.6 적용 시 1일 최다강수량은 근미래 때 140.4㎜(4.1%)에서 중미래 때 150.6㎜(13.3%)로 늘었다가 먼미래에 145.4㎜(7.8%)로 감소해 연강수량과 비슷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연중 5일 연속으로 비가 내렸을 때 강수량 최고치'(5일 최다강수량)는 SSP5-8.5를 적용하면 '45.5㎜(현재 대비 증가율 6.5%)→49.9㎜(16.7%)→54.4㎜(27.9%), SSP1-2.6 적용 시 '44.0㎜(3.0%)→47.2㎜(10.3%)→44.8㎜(4.7%)'로 변화가 예상됐다.
집중호우 때 강수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은 모든 탄소배출 시나리오에서 동아시아 몬순 때문에 대기 하층에서 부는 남서풍이 강해지고 이에 아열대에서 우리나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더 많이 유입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질 전망인 점도 집중호우 때 강수량 증가를 예상하게 하는 요인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대기 하층 기온도 높아지고 대기 중 수증기량이 늘어난다.
태풍은 SSP1-2.6을 적용하든 SSP5-8.5를 적용하든 북위 20도 이하 저위도 아열대에서는 덜 발생하고 북위 20도 이상 중위도에서는 발생이 늘 것으로 전망됐다.
이유는 '북위 20도 이하에서 상대와도(회전하는 지구에 대한 유체의 상대적 회전) 감소, 북위 20~30도에서 증가',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더 두드러지는 해수면 온도 상승',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기온이 더 오르면서 중위도 대기 상층 제트기류 약화와 이에 따른 대기 상하층 풍속·풍향 차 감소' 등이 꼽혔다.
상대와도 값이 클수록 태풍이 발생하기에 좋다.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태풍이 북상하며 세력을 유지하거나 키울 수 있다.
대기 상하층 풍속·풍향 차가 작으면 태풍의 원통형 구조가 깨지지 않고 유지된다.
기후변화로 태풍이 우리나라 주변으로 지나갈 확률도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지역이 태풍의 경로에 포함될 확률 격인 '태풍 진로밀도'를 우리나라와 그 주변을 5개 지역으로 나눠 살펴보면 모두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1979~2014년)와 21세기(2015~2100년) 태풍 진로밀도를 비교하면 SSP5-8.5 적용 시 서해에서 85%, 내륙에서 78%, 남서해에서 30%, 동해에서 25%, 남해에서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태풍 진로밀도는 SSP1-2.6 적용 시엔 서해에서 65%, 내륙에서 57%, 동해에서 29%, 남서해에서 27%, 남해에서 9% 증가가 전망됐다.
우리나라 주변에서 태풍 중심기압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이 강한 태풍이다.
서해의 경우 태풍 중심기압 평균이 현재 989.48hPa(헥토파스칼)에서 SSP1-2.6 적용 시 988.54hPa, SSP5-8.5 적용 시 986.57hPa로 낮아질 전망이다.
/연합뉴스
중위도서 태풍 발생 늘어나고 우리나라 주변 지날 확률 높아져 탄소 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집중호우 강도가 훨씬 강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가 속한 중위도에서 태풍이 늘어나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강도도 강해질 것으로도 예상됐다.
한국환경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 및 감축 중장기 연구방향' 보고서에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수량과 태풍 전망이 담겼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평가보고서의 바탕이 된 5개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 평균을 분석해 작성됐다.
9일 보고서를 보면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점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경우'(SSP5-8.5) 우리나라 연강수량은 근미래(2020~2049년)에 1천301.3㎜로 현재보다 1.1%, 중미래(2050~2079년)에 1천433.4㎜로 현재보다 11.4%, 먼미래(2080~2099년)에 1천544.2㎜로 현재보다 20.2% 증가하리라 예측됐다.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를 최소한 사용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경우'(SSP1-2.6)에도 연강수량은 증가했다.
다만 이 경우 근미래, 중미래, 먼미래 연강수량 예상치가 1천323.7㎜, 1천402.5㎜, 1천318.3㎜로 중미래 때 현재보다 9.1% 늘어났다가 먼미래에 현재보다 2.5% 많은 수준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탄소 저배출 시나리오를 달성하면 연강수량이 기후변화에 덜 영향받지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실패한 고배출 시나리오를 따르면 연강수량이 기후변화 영향으로 많이 증가한다"라고 설명했다.
기후변화는 집중호우 때 강수량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됐다.
1년 중 가장 비가 많이 내린 날 강수량(1일 최다강수량)의 연평균은 SSP5-8.5를 적용했을 때 근미래에 146.2㎜(현재 대비 증가율 8.5%), 중미래에 165.9㎜(23.2%), 먼미래에 182.9㎜(36.1%)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SSP1-2.6 적용 시 1일 최다강수량은 근미래 때 140.4㎜(4.1%)에서 중미래 때 150.6㎜(13.3%)로 늘었다가 먼미래에 145.4㎜(7.8%)로 감소해 연강수량과 비슷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연중 5일 연속으로 비가 내렸을 때 강수량 최고치'(5일 최다강수량)는 SSP5-8.5를 적용하면 '45.5㎜(현재 대비 증가율 6.5%)→49.9㎜(16.7%)→54.4㎜(27.9%), SSP1-2.6 적용 시 '44.0㎜(3.0%)→47.2㎜(10.3%)→44.8㎜(4.7%)'로 변화가 예상됐다.
집중호우 때 강수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 까닭은 모든 탄소배출 시나리오에서 동아시아 몬순 때문에 대기 하층에서 부는 남서풍이 강해지고 이에 아열대에서 우리나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더 많이 유입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질 전망인 점도 집중호우 때 강수량 증가를 예상하게 하는 요인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대기 하층 기온도 높아지고 대기 중 수증기량이 늘어난다.
태풍은 SSP1-2.6을 적용하든 SSP5-8.5를 적용하든 북위 20도 이하 저위도 아열대에서는 덜 발생하고 북위 20도 이상 중위도에서는 발생이 늘 것으로 전망됐다.
이유는 '북위 20도 이하에서 상대와도(회전하는 지구에 대한 유체의 상대적 회전) 감소, 북위 20~30도에서 증가',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더 두드러지는 해수면 온도 상승', '저위도보다 중위도에서 기온이 더 오르면서 중위도 대기 상층 제트기류 약화와 이에 따른 대기 상하층 풍속·풍향 차 감소' 등이 꼽혔다.
상대와도 값이 클수록 태풍이 발생하기에 좋다.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태풍이 북상하며 세력을 유지하거나 키울 수 있다.
대기 상하층 풍속·풍향 차가 작으면 태풍의 원통형 구조가 깨지지 않고 유지된다.
기후변화로 태풍이 우리나라 주변으로 지나갈 확률도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지역이 태풍의 경로에 포함될 확률 격인 '태풍 진로밀도'를 우리나라와 그 주변을 5개 지역으로 나눠 살펴보면 모두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1979~2014년)와 21세기(2015~2100년) 태풍 진로밀도를 비교하면 SSP5-8.5 적용 시 서해에서 85%, 내륙에서 78%, 남서해에서 30%, 동해에서 25%, 남해에서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태풍 진로밀도는 SSP1-2.6 적용 시엔 서해에서 65%, 내륙에서 57%, 동해에서 29%, 남서해에서 27%, 남해에서 9% 증가가 전망됐다.
우리나라 주변에서 태풍 중심기압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이 강한 태풍이다.
서해의 경우 태풍 중심기압 평균이 현재 989.48hPa(헥토파스칼)에서 SSP1-2.6 적용 시 988.54hPa, SSP5-8.5 적용 시 986.57hPa로 낮아질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