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명예교수는 삶 자체가 현대사인 103세 철학자…윤동주 시인과 반 친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국내 최고령 철학자이자 수필가다. 1920년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6·25전쟁, 산업화와 민주화를 모두 겪었다. 평양의 미션스쿨인 숭실중에서 윤동주 시인과 같은 반 친구로 지내기도 했다.
1960년부터 <고독이라는 병> <영원과 사랑의 대화> 등 기독교적 실존주의를 배경으로 한 수필을 다작해왔다. 103세인 지금도 정기적인 강연과 기고를 이어가고 있다. 하반기에는 신간 출간을 앞두고 있다. 김 교수는 “103세에 책을 내는 건 흔치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인생에서 80세까지를 장년이라고 규정한다. 살아보니 65세에서 80세까지가 가장 좋았다는 것이다. 몸은 늙지만 지력은 노력하면 계속 성장할 수 있다고도 했다. 김 교수는 “35세에 연세대 교수로 갔을 때 은퇴하는 선배가 ‘칠판을 바라보며 30년, 등지고 30년 살고 나니 인생이 끝났다’고 했는데 그 말을 믿었으면 큰일 날 뻔했다”며 “은퇴하고 나서 더 바쁘게 많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 교수는 100세가 지나니 고유명사가 바로바로 기억이 안 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좀 늙은 것 같다”며 웃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1960년부터 <고독이라는 병> <영원과 사랑의 대화> 등 기독교적 실존주의를 배경으로 한 수필을 다작해왔다. 103세인 지금도 정기적인 강연과 기고를 이어가고 있다. 하반기에는 신간 출간을 앞두고 있다. 김 교수는 “103세에 책을 내는 건 흔치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인생에서 80세까지를 장년이라고 규정한다. 살아보니 65세에서 80세까지가 가장 좋았다는 것이다. 몸은 늙지만 지력은 노력하면 계속 성장할 수 있다고도 했다. 김 교수는 “35세에 연세대 교수로 갔을 때 은퇴하는 선배가 ‘칠판을 바라보며 30년, 등지고 30년 살고 나니 인생이 끝났다’고 했는데 그 말을 믿었으면 큰일 날 뻔했다”며 “은퇴하고 나서 더 바쁘게 많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 교수는 100세가 지나니 고유명사가 바로바로 기억이 안 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좀 늙은 것 같다”며 웃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