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특화단지 지정 초읽기…지자체 유치 총력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음주 3개 분야 특화단지 발표
반도체, 15곳 도전 '가장 치열'
소재·부품 글로벌기지 구미와
인재·기술 풍부한 대전 '눈길'
디스플레이는 충남만 신청
2차전지, 경북 등 5곳 경쟁
지정 땐 최소 7조 혜택 전망
반도체, 15곳 도전 '가장 치열'
소재·부품 글로벌기지 구미와
인재·기술 풍부한 대전 '눈길'
디스플레이는 충남만 신청
2차전지, 경북 등 5곳 경쟁
지정 땐 최소 7조 혜택 전망
지방자치단체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일께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3개 분야 특화단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21개 지자체가 특화단지 유치에 막바지 뜨거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내년 총선을 겨냥한 지역 국회의원들의 발걸음도 산업부가 있는 세종청사로 향하고 있다.
10일 지자체에 따르면 반도체 특화단지에 신청한 지자체만 15곳에 달한다. 경기는 용인·평택·이천·화성·남양주·안성 등 8곳이 도전장을 냈다. 경기 외 지역은 인천, 충북, 대전, 광주·전남, 경남, 경북(구미), 부산 등이 경합을 벌이고 있다. 디스플레이 특화단지는 충남만 신청했다. 2차전지는 충북, 경북(포항, 상주), 울산, 전북 등 5곳이 경쟁하고 있다. 산업부는 2개 이상의 특화단지를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은 반도체 인재와 기술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내세우며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대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을 비롯한 26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20여 개 대학, 3만 명 이상의 석·박사급 고급 인력이 밀집해 있다. 447개의 반도체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도 있다. 대전은 지난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이미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지정받기도 했다.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전력과 용수 공급 문제도 무난하다는 평가다. 대전시는 인근 대청댐 용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산업단지 인근에 송전선로가 설치돼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고 홍보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전국 266개 반도체 기업이 대전에 입주 의향을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구미시는 수도권과의 역할 분담론을 내세우면서 윈윈 전략으로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집적도가 높고, 대구·경북권 내 2만 명의 인재 공급 계획이 이미 마련된 것이 강점이다.
구미에는 국내 유일의 반도체 웨이퍼 제조 글로벌기업인 SK실트론을 비롯해 LG이노텍, 원익큐엔씨, 삼성SDI 등 반도체 글로벌 선도기업 8개를 포함해 344개의 소부장 기업이 이미 몰려 있다.
경남은 방산, 자동차, 항공, 기계, 조선 등 풍부한 전방산업을, 부산은 이미 준비된 산업단지와 지역 대학 인력 육성 방안을 내세우고 있다. 인천은 영종도에 당장 착공할 수 있는 산단 부지와 공항 5분 거리의 입지로 반도체 첨단 패키징 산단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전남은 전국 최고 수준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자체가 앞다퉈 특화단지를 유치하려는 이유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으로 각종 혜택을 받기 때문이다. 기업은 각종 세제 혜택과 인허가 신속 처리, 전력·용수 인프라 지원,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을 받는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받는 혜택을 금액으로 계산하면 7조~10조원 이상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구미=오경묵 기자/전국종합
10일 지자체에 따르면 반도체 특화단지에 신청한 지자체만 15곳에 달한다. 경기는 용인·평택·이천·화성·남양주·안성 등 8곳이 도전장을 냈다. 경기 외 지역은 인천, 충북, 대전, 광주·전남, 경남, 경북(구미), 부산 등이 경합을 벌이고 있다. 디스플레이 특화단지는 충남만 신청했다. 2차전지는 충북, 경북(포항, 상주), 울산, 전북 등 5곳이 경쟁하고 있다. 산업부는 2개 이상의 특화단지를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은 반도체 인재와 기술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내세우며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대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을 비롯한 26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20여 개 대학, 3만 명 이상의 석·박사급 고급 인력이 밀집해 있다. 447개의 반도체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도 있다. 대전은 지난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이미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지정받기도 했다.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전력과 용수 공급 문제도 무난하다는 평가다. 대전시는 인근 대청댐 용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산업단지 인근에 송전선로가 설치돼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고 홍보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전국 266개 반도체 기업이 대전에 입주 의향을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구미시는 수도권과의 역할 분담론을 내세우면서 윈윈 전략으로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집적도가 높고, 대구·경북권 내 2만 명의 인재 공급 계획이 이미 마련된 것이 강점이다.
구미에는 국내 유일의 반도체 웨이퍼 제조 글로벌기업인 SK실트론을 비롯해 LG이노텍, 원익큐엔씨, 삼성SDI 등 반도체 글로벌 선도기업 8개를 포함해 344개의 소부장 기업이 이미 몰려 있다.
경남은 방산, 자동차, 항공, 기계, 조선 등 풍부한 전방산업을, 부산은 이미 준비된 산업단지와 지역 대학 인력 육성 방안을 내세우고 있다. 인천은 영종도에 당장 착공할 수 있는 산단 부지와 공항 5분 거리의 입지로 반도체 첨단 패키징 산단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전남은 전국 최고 수준의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이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자체가 앞다퉈 특화단지를 유치하려는 이유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으로 각종 혜택을 받기 때문이다. 기업은 각종 세제 혜택과 인허가 신속 처리, 전력·용수 인프라 지원,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을 받는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받는 혜택을 금액으로 계산하면 7조~10조원 이상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구미=오경묵 기자/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