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벙첨벙 신나는 물놀이…어, 귀가 아프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름철엔 귀 건강 주의해야
세균·곰팡이의 습격 '외이도염'
적절한 치료 안받으면 만성 악화
수압 탓에 '외상성 고막천공'
신속히 재생 위한 시술 받아야
항공기 탔는데 '기압성 중이염'
침 삼키거나 껌 씹으면 예방 효과
세균·곰팡이의 습격 '외이도염'
적절한 치료 안받으면 만성 악화
수압 탓에 '외상성 고막천공'
신속히 재생 위한 시술 받아야
항공기 탔는데 '기압성 중이염'
침 삼키거나 껌 씹으면 예방 효과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AA.33881214.1.jpg)
○여름철 흔히 발생하는 외이도염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AA.33922234.1.jpg)
그런데 오염된 이물질이나 세균, 곰팡이 등이 귀 안으로 들어가거나 상처를 통해 침투하는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외이도염이란 고막 바깥에 있는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겉으로는 큰 이상이 보이지 않으나 귀의 통증과 귀가 먹먹한 증상을 동반해 갑갑함을 느낄 수 있다.
염증성 외이도염은 상처를 통한 염증의 파급으로 귀에 열감과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습진성 외이염은 가려움증과 함께 분비물로 인해 귀가 갑갑한 느낌을 받는다. 급성 외이도염은 씹거나 하품할 때 통증이 심해지며, 심하면 귀가 붓고 고름이 생겨 악취가 나거나 청력이 떨어지는 증상도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년도 진료비통계조사에 따르면 한 해 약 167만 명이 외이도염으로 병원을 찾았다. 총진료비도 2011년부터 연평균 꾸준히 증가했다. 한여름인 8월 귀 관련 질환으로 내원하는 환자 세 명 중 한 명이 외이도염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영호 교수는 “여름철 진료 인원이 증가하는 이유는 여름철 물놀이 등으로 외이도염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라며 “여름철 다습한 환경에 세균과 곰팡이의 번식이 용이해져 세균성 외이도 감염을 유발하기 쉬워 귀 건강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외이도염, 빠른 치료와 예방이 중요
![첨벙첨벙 신나는 물놀이…어, 귀가 아프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7/AA.33935232.1.jpg)
외이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보호하고 귀가 습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는 물놀이할 때 귀마개를 착용하는 것이 좋고 수영, 샤워 후 물이 귀에 들어갔을 경우 물이 들어간 쪽의 귀를 아래쪽으로 기울여 자연스럽게 물기가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리하게 면봉을 사용하게 되면 귀에 상처를 내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 귀이개나 면봉을 자주 사용해 귀 안을 후비는 행위는 그 자체로 상처를 만들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귀가 답답한 증상이 오래가거나 습한 느낌이 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면봉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면 깊숙이 넣지 않도록 한다. 누워서 사용하는 행위는 외상성 천공을 유발할 수 있어 절대 금물이다. 최근 반려견과 함께하는 가정이 늘면서 이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반드시 벽에 등을 지거나 눕지 않은 상태에서 멸균되고 잘 부러지지 않는 면봉을 사용해야 한다.
○수상스포츠 및 항공기 이용 후 귀 통증
외상성 고막천공은 대개 구타 등으로 인해 고막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거나 외이도 또는 중이의 갑작스러운 기압 변화로 구멍이 뚫려 생기는 질환이다. 하지만 수상스포츠를 즐기던 중 수압에 의한 고막 손상으로 외상성 고막천공이 발생하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 미리 귀마개를 사용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귀통증이나 출혈, 난청 등 고막 손상이 의심되면 즉시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찰 후 신속히 고막 재생을 위한 시술 또는 주의 깊은 경과 관찰 등을 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고막천공이나 난청, 만성 중이염을 초래할 수 있다.휴가철 해외여행이 늘면서 항공기 이용 후 중이염이 발생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 기압성 중이염은 항공기에서 급격한 기압 차를 우리 몸의 이관이 풀어주지 못하면서 발생한다. 이관은 귀의 안쪽과 바깥쪽의 기압을 같게 조절하는 기관이다. 지속되는 압력 변화를 못 견디고 고막 안쪽의 중이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심한 귀 통증을 느끼거나 귀에 물이 찬 것처럼 먹먹한 증상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도가 유지될 때 외에는 취침하지 말고 침을 삼키거나 껌을 씹는 등의 방법으로 이관 기능을 계속 정상화시켜 줘야 한다. 입을 꼭 다물고 코를 손으로 잡고 코를 풀 듯 불어주는 발살바 환기법도 기압성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김유림 기자 you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