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온호. 한경DB
아라온호. 한경DB
극지연구소는 북극의 기후변화 현황과 파급력을 연구하기 위해 12일 아라온호가 14번째 북극 탐사를 나선다고 밝혔다.

북극은 기후변화가 가장 먼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 중 한 곳. 지난 겨울 북극해를 덮고 있는 얼음의 면적은 관측 사상 최솟값을 기록하기도 했다.

아라온호는 광양항을 출발해 총 90일간 북극 베링해와 동시베리아해, 축치(Chukchi)해 등에서 북극 해빙(바다 얼음) 변화와 대기 현상, 바닷속 생태계, 환경변화, 해저 지질 현상 등을 관측한다.

연구진은 북극 해빙의 두께가 변하는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베링해에 관측기기를 설치, 실시간으로 해빙 감시 자료를 획득한다. 해빙 두께는 해빙이 얼마나 빠르게 줄어드는지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다.

해빙 위에 직접 내려서 해빙의 특성을 관측하고, 해빙 가장자리가 바다와 만나는 경계부에도 관측장비를 설치해 파도가 해빙을 부수는 작용을 분석한다. 현장에서 확보한 해빙 정보는 인공위성 원격탐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다.

지구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로 지목받고 있는 메탄 연구도 수행한다. 연간 메탄 방출량 분석을 목표로 북극 동시베리아해 메탄 분출지역에 장기 관측장비를 설치한다. 메탄은 최근 북극해 해저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방출량이 빠르게 늘고 있다.

아라온호는 항해 중 북극해의 미세먼지도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수집한다. 많은 양의 구름은 대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데, 미세먼지가 구름 형성에 관여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미세먼지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예정이다.

인천=강준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