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주요국 수도 일일이 거명하며 "실질 위협"…나토 군사기밀망 참여 선언
"국제사회 핵저지 의지 더 강해야"…국제사회 결속 우선 판단
"北불법엔 대가"…尹대통령, 미일 넘어 나토와도 강력 공동대응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무대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맞서 나토와 강력한 공동 대응을 예고했다.

한미, 한미일 차원을 넘어 나토를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과도 실질적인 대북 공조를 꾀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나토 정상회의가 열리는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소식을 접한 뒤 일정 전반에서 북한 도발에 대한 강경 대응 의지와 공조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나토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 연설에서는 "북한 핵·미사일은 이곳 빌뉴스는 물론이거니와 파리, 베를린, 런던까지 타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위협"이라고 언급했다.

유럽 각국 정상들 앞에서 주요국 수도를 일일이 거명한 것은 날로 고도화하는 북한 핵·미사일이 한국과 일본, 미국을 넘어 유럽을 비롯한 국제사회 공동의 대응 과제가 됐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또한 나토 동맹국들이 전날 도출한 공동성명에서 5년 만에 북한 핵·미사일을 규탄한 점을 짚으며 "앞으로도 한국과 나토가 북한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해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한 ICBM 발사 이후 현지에서 직접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도 "북한의 불법 행위에 대가가 따른다"며 "국제사회의 더욱 강력한 대응과 제재에 직면할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행보에는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선 어느 때보다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과 결속이 우선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10일 출국 직전 공개된 AP 서면인터뷰에서 "지금은 북한의 핵 개발 의지보다 북한의 핵을 저지하려는 국제사회 의지가 더 강하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줘야 할 때"라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해부터 북한의 무력 도발이 이어지고 있지만, 신냉전 구도 심화 속에서 중국과 러시아 등의 반대로 유엔 차원 대응은 무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핵 대응의 핵심축인 미국, 일본과 공조를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서방 진영과도 실질적인 협력을 위한 다각도의 외교적 노력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전날 한·나토 간 11개 협력 분야를 구체화한 개별 맞춤형 파트너십 프로그램(ITPP)을 체결한 데 이어 이날 군사기밀 공유망인 '전장 정보 수립·수집 활용 체계'(BICES·바이시스) 가입 추진 의사를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