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의료취약지역에서 근무하겠습니까?"…의사 63% '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사협회 조사결과…"46% 공공의료기관 근무 시 의료사고 대한 지원 필요"
현직 의사의 60% 이상이 은퇴 후 의료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한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3일 오전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은?'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14∼26일 협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퇴직 후에도 진료를 계속하고 싶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2016명의 78.8%는 '하고 싶다'고 답했다.
현역 은퇴 연령은 몇살이 적당하냐는 질문엔 65∼69세(35.2%)→ 75세 이상(23.6%)→ 70∼74세(22.1%)→ 60∼64세(13.8%)→ 60세 미만(5.3%) 순으로 답했다.
은퇴 후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3.1%는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국공립병원이나 지방의료원, 보건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77.0%가, 의료취약지 민간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67.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은퇴 후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기 위해 거주지를 옮길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55.2%가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선호하는 근무지로는 수도권(36.7%)→ 영남권(26.8%)→ 강원(10.8%)→ 호남권(9.7%)→ 충청권(9.2%)→ 제주(6.8%)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선호율은 2020년 55.9%에서 올해 37.2%로 3년 만에 18.7%포인트 감소했고, 강원지역 선호율은 2020년 4.4%에서 올해 10.8%로 2배 이상 늘었다고 의협은 설명했다.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근무지를 옮겨야 할 때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29.7%가 '가족과 떨어지는 것'이라고 답했고, 의료·인프라부족(16.2%), 사회관계 단절(16.1%), 여가·문화시설 부족(9.3%) 등이 뒤를 이었다.
은퇴 의사를 활용해 의사 증원 없이 일차의료와 공공의료 강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과반인 57.9%가 '가능하다'고 답했고, 24.3%는 '모르겠다', 17.8%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퇴직 의사가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근무할 경우 어떤 정부 지원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엔 가장 많은 46.0%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지원'을 꼽았다.
인건비 지원 25.1%, 교육과 표준 운영지침 마련 13.8%, 주거공간 지원 10.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퇴직의사나 퇴직 전 이직을 희망하는 의사를 지역 공공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사업인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에 대해선 응답자의 69.9%가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19.1%는 보통, 11%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필수 의협회장은 "지역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의사를 활용한 지역 공공병원 매칭 사업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3일 오전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은?'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14∼26일 협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퇴직 후에도 진료를 계속하고 싶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2016명의 78.8%는 '하고 싶다'고 답했다.
현역 은퇴 연령은 몇살이 적당하냐는 질문엔 65∼69세(35.2%)→ 75세 이상(23.6%)→ 70∼74세(22.1%)→ 60∼64세(13.8%)→ 60세 미만(5.3%) 순으로 답했다.
은퇴 후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3.1%는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국공립병원이나 지방의료원, 보건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77.0%가, 의료취약지 민간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67.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은퇴 후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기 위해 거주지를 옮길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55.2%가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선호하는 근무지로는 수도권(36.7%)→ 영남권(26.8%)→ 강원(10.8%)→ 호남권(9.7%)→ 충청권(9.2%)→ 제주(6.8%)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선호율은 2020년 55.9%에서 올해 37.2%로 3년 만에 18.7%포인트 감소했고, 강원지역 선호율은 2020년 4.4%에서 올해 10.8%로 2배 이상 늘었다고 의협은 설명했다.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근무지를 옮겨야 할 때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29.7%가 '가족과 떨어지는 것'이라고 답했고, 의료·인프라부족(16.2%), 사회관계 단절(16.1%), 여가·문화시설 부족(9.3%) 등이 뒤를 이었다.
은퇴 의사를 활용해 의사 증원 없이 일차의료와 공공의료 강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과반인 57.9%가 '가능하다'고 답했고, 24.3%는 '모르겠다', 17.8%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퇴직 의사가 공공보건의료기관에서 근무할 경우 어떤 정부 지원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엔 가장 많은 46.0%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지원'을 꼽았다.
인건비 지원 25.1%, 교육과 표준 운영지침 마련 13.8%, 주거공간 지원 10.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퇴직의사나 퇴직 전 이직을 희망하는 의사를 지역 공공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사업인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에 대해선 응답자의 69.9%가 긍정적이라고 답했고, 19.1%는 보통, 11%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필수 의협회장은 "지역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의사를 활용한 지역 공공병원 매칭 사업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