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반등 기대감 높인 정부..."수출 부진 일부 개선" 첫 언급
정부가 6개월째 최근 한국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렸다.

하지만 수출 부진이 일부 개선되는 등 하방 위험이 완화됐다고 평가하며 경기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경기 둔화 판단'은 지난 2월부터 반년째 이어지고 있다. 5월 제조업 생산이 1년 전보다 7.5% 감소하는 등 제조업 중심의 부진이 나타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정부는 다만 "수출 부진 일부 완화, 완만한 내수·경제 심리의 개선세, 견조한 고용 등으로 하방 위험이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전달 그린북에서 '하방 위험 다소 완화'라고 표현한 데서 '다소'라는 말이 빠지며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것이다.

특히 경기 둔화의 주요 배경으로 '수출·제조업'에서 '수출'이 빠지는 등 수출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옅어졌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6.0% 줄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율은 연중 최저 수준이었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수출 물량 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 6월은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도 11.7%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11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흑자가 흑자를 기록한 건 16개월 만에 처음이다.

5월 경상수지는 19억3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돼 전월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내수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갔다.

5월 소매 판매는 전달보다 0.4% 증가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100.7로 13개월 만에 기준치(100)를 넘어 낙관적으로 돌아섰다.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5.4% 늘고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보다 1,303.3%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백화점 매출액은 0.2%, 할인점 매출액은 1.9% 각각 감소해 6월 소매 판매에 부정적 요인이 될 전망이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3만3천명 늘며 석 달째 3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2.7%로 21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이와 관련 정부는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이 뚜렷하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정보기술(IT) 업황에 대한 개선 기대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대한 기대감과 제약 우려가 교차하고 있고 통화 긴축, 러시아-우크라 전쟁 영향 등 불확실성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생경제 안정과 경제체질 개선 등을 위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의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